우리와 당신들 베어타운 3부작 2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충격적인 사건 그 이후에 사람들의 일상어 어떻게 변했는지 알지 못합니다. 아니 어쩌면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가 맞는 말일지도 모르겠어요. 사람들은 사건에 주목하지, 사람에 주목하지 않으니까요. 하지만 사람들의 관심이 시들어가도, 그들은 여전히 그 곳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프레드릭 배크만의 <우리와 당신들, Us Against You>를 읽으며. 문득 우리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던 많은 사건들 그 이후가 궁금해진 이유가 여기에 있어요. 그가 우리를 다시 베어타운으로 초대하기 때문이죠.

 베어타운, 그 곳을 언뜻 스쳐가는 관광객에게는 더없이 아름다울 수 있는 그런 작은 마을입니다. 하지만 그 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쇠락하는 도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죠. 마을에 희망은 오로지 아이스하키입니다. 아이스하키팀을 통해 다시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으리라 믿던 사람들, 그들은 팀의 에이스인 케빈의 일탈과 범죄에도 이중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여전히 그가 마을의 영웅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임무를 수행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들의 분노는 도리어 피해자인 마야에게 향합니다. 옆 마을이자 경쟁팀인 헤드의 아이스하키팀으로 떠난 케빈이 아닌 마야가 손가락질을 당하는 걸 보며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밝은 미래를 꿈꾸는 케빈과 달리 남겨진 아이들은 방황하고, 마야의 동생인 레오는 죄책감에 시달리고 그렇게 세상은 참 제 맘처럼 흘러가지 않아 화가 나더군요. 하지만 베어타운을 읽을 때도 그런 생각을 정말 많이 했죠. 내가 만약 베어타운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특히나 어릴 때부터 프로야구에 빠져있던 저에게는 아이스하키에 빠져 사는 베어타운의 사람들이 그렇게 낯설지만은 않으니까요. 그래서 당신도 스스로 바라는만큼 우리와 다르지 않을지 모른다라는 문구를 보며, 다시 한번 베어타운을 읽었을 때의 기억을 떠올렸습니다.

 마야의 아버지이자 아이스하키팀의 단장인 페테르는 다시 팀을 살려보기 위해 동분서주합니다. 예전처럼 아이스하키에 집중하며 살 수 있던 시절이 그리운 그는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애쓰고, 그의 동창이자 정치인인 테오가 도움의 손길(?)을 내밉니다. 그렇게 다시 마을에 심어진 새로운 갈등의 씨앗들은 다시 싹을 틔우고 무럭무럭 자라나 사람들을 흔들어댑니다. 이미 서로를 증오하는 일에 너무나 익숙해져 버린 사람들, 과연 우리는 전편에서처럼 또 다시 한 마을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지켜보게 될까요? 솔직히 그런 불안함도 있었지만, ‘우리 대 당신들이 아니라 우리와 당신들인 이유가 분명히 있었습니다. 다시 책의 목차를 살펴보았습니다. ‘인간은 저마다 백 가지로 다르지만’, ‘그래서 그들이 그의 동지가 되어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