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기억의 예술관 - 도시의 풍경에 스며든 10가지 기념조형물
백종옥 지음 / 반비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를린, 기억의 예술관>은 도시와 그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느냐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저자인 백종옥은 한국의 홍익대학교와 독일의 베를린예술대학교에서 공부를 하고, 미술기획자로 활동 중인데요. 베를린의 공공미술을 살펴보며, 독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회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래서인지 자연스럽게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생각해보게 됩니다. 기억하기보다는 새롭게 바꾸는 것에 너무나 익숙하니까요. 그래서인지 저자 역시 한국의 도시들은 쉽게 집단 기억상실증에 빠져버리는 사회의 체질을 내면화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지적하네요.

 베를린을 도시 전체가 기념공간이라고 설명하는데, 10개의 기념조형물로 베를린을 들여다보면 그 말이 딱 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무래도 기념조형물을 만드는 과정부터 차이가 있는데요. 그냥 어느 날 뜬금없이 세워져 있는 무엇이 아니라, 모두의 의견을 모아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것으로 시작하여 완성하는 과정 역시 그러한 과정의 연속이라는 것이 기억에 남아요. 홀로코스트를 기억하기 위한 학살된 유럽 유대인을 위한 추모비역시 그런 방식으로 만들어졌는데요. 만드는 과정에서도 계속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것도 그러하지만, 또한 사람들이 그 곳에 어우러져서 살아갈 수 있게 만드는 것도 그렇습니다. 어떤 기념관을 애써 찾아가지 않아도 시민의 일상과 함께하고 있다는 것, 그러한 공간을 만들어내는 힘이 더욱 의미있게 느껴졌습니다. ]

 그런 부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바로 얼마 전 방영했던 알쓸신잡에도 나왔던 슈톨퍼슈타이네입니다. ‘걸려 넘어지다라는 뜻을 갖고 있는 이 조형물은 독일인이 역사에 얼마나 진지하게 접근하고 있는지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었죠. 책에서 이를 자세히 더 설명해주어서 좋았어요. 지역의 청년과 학생들은 여전히 나치의 희생자들을 찾고 그들을 기억하기 위한 추모석 설치 작업을 여전히 하고 있는데요. 지나간 일은 이제 잊자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꼭 보여주고 싶은 기념물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실슈트라세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아이히만의 범죄를 알리고 이를 경고하고자 하는 기념물 역시 같은 맥락인 것 같아요. 지나간 일을 그저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분명히 기억하고 반성하고 그래서 비로서 더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독일의 철학이 그대로 느껴지는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