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모로 산다는 것 - 왕권과 신권의 대립 속 실제로 조선을 이끌어간 신하들의 이야기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제부터인가, 조선시대를 왕권과 신권의 끝없는 대립과 조화로 생각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참모로 산다는 것>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던 책이었는데요. 조선시대 전문가로 대중들에게 알려져 있는 신병주 교수와 함께 참모라는 키워드로 조선시대를 들여다 보는 것 역시 흥미로운 일이었습니다.

정도전, 황희 조광조, 정철, 송시열, 정약용같이 익히 알고 있던 참모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어요. 하지만 한명회, 신숙주, 하륜처럼 이미 알려진 이미지가 너무나 강렬하게 뒤덮고 있었던 인물들의 이야기가 기억에 오래 남더군요. 워낙 장희빈과 인현왕후에 스포트라이트가 많이 가서, 미처 잘 몰랐던 숙종을 발견할 때의 느낌이라고 할까요? 물론 그들이 갖고 있는 이미지가 다 틀렸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이 보여주었던 참모로서의 면모가 너무 저 편으로 미루어져 있으니 말이죠. 개인적으로는 신숙주에 대해 더 탐구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재위기간은 가장 짧았지만 가장 준비되었던 왕이라 평가되었던 인종과 그의 스승이었던 김인후에 대한 이야기도 기억에 오래 남네요. 어떻게 보면 소설에나 나올법한 낭만적인 관계였다 싶은 것은, 권력욕에 사로잡히기 전에 모든 이야기가 정리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해요. 분명 책에 등장하는 수많은 왕과 그들의 참모 역시 그런 시절이 있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요즘 시에 대한 책을 읽으면서도 역시 시대의 기재이다 싶은 허균까지, 허균처럼 알면 알수록 독특한 인물이 또 있을까 싶습니다. 그가 홍길동전을 쓸 수 밖에 없는 운명이었다는 것을 이 책에서도 생각하게 될 줄은 몰랐네요.

 이상할 정도로 이 책을 읽으면서 제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것은 바로 조선시대의 왕들입니다. 참모를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하여 참모의 능력을 십분 활용해야 하지만, 그 와중에 왕권을 높여야 하며 균형추를 놓지 말아야 했던 조선시대의 왕들을 보며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