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 기후의 역사와 인류의 생존
벤저민 리버만.엘리자베스 고든 지음, 은종환 옮김 / 진성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품절


역사를 배울 때, 기후를 그렇게 신경써서 생각하지는 않았던 것 같아요. 물론 지형적으로 기후적으로 문명이 발전하기 좋은 지역이었다는 식의 언급은 본 적이 있지요. 사람들이 보다 좋은 환경으로 이동하고 정착하려고 했을 것은 예상 가능하지만, <시그널>을 읽으며 기후가 갖고 있는 영향력이 상당히 크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한국의 여름은 무척 무더웠죠. 그 때 인간에 대한 날씨의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 무더운 날씨가 사람을 얼마나 무기력하게 만드는지 이야기하는 것을 많이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역사학자이자 정치경제학자인 벤저민 리버만과 지구과학자로 기후변화 전문가인 엘리자베스 고든이 대학에서 기후변화와 인류 역사라는 강의를 하면서 이 책이 나올 수 있었는데요. 덕분에 정말 폭넓은 세상을 잠시 들여다 본 느낌을 받았습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온난한 기후가 시작된 것은 약 12,000년 전이라고 해요. 물론 그 중간에도 소규모의 빙하기처럼 인류의 발전에 큰 타격을 준 시기도 있었지만, 이전에 비하면 상당히 안정적으로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수렵과 채집으로 살아가던 인류가 정착을 하고 농경문화를 만들고, 높은 생산력을 바탕으로 제국을 건설하는 것에도 기후의 영향력을 빼놓을 수는 없죠. 거기다 그 제국들이 무너지던 시기와 소빙하기가 지구에 찾아온 시기가 겹치는 것 역시 주목해야 할 점입니다. 그리고 자연이 우리에게 영향력을 끼치던 시대를 지나, 산업혁명으로 도시가 발달하면서 도리어 우리가 훼손한 자연으로 인해 문명의 지속성을 의심하게 되는 시절까지 오게 되었는데요. 지구 온난화의 원인에 대한 이견은 존재하지만, 지금 엄청난 기후 변화가 감지되고 있음을 부정하는 학자들은 없다는 것이 더욱 걱정스럽게 느껴지는 지점이기도 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그러한 기후의 변화에 인간이 어떻게 대처해왔는지 살펴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겠지요. 기후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는 책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었지만, 거기에 대한 대응은 생각보다 많이 보이는 것 같지는 않았어요. 아무래도 제대로 하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인류가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던 시절도 아니었기 때문인 것 같아요. 그래도 유연하게 날씨의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역사를 보면, 충분히 우리도 훗날에 돌아보면 그러한 시절로 기록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세계 2위 탄소 배출국인 미국이 파리기후협정에서 탈퇴를 하면서 더욱 전 지구적인 기후문제를 전 인류가 함께 대응하려는 시도에 브레이크가 걸린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샘솟네요. 이런 강연과 책이 더 많이 나와서 사람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기를 바라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