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코패스: 정상의 가면을 쓴 사람들 - 뇌과학이 밝혀낸 당신 주위의 사이코패스
나카노 노부코 지음, 박진희 옮김 / 호메로스 / 2018년 12월
평점 :
사이코패스에 대한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궁금해지는 것이 바로 사이코패스인거 같아요. 뇌과학자 나카노 노부코의
<사이코패스>역시 궁금증을 채워주기도 하고, 새로운
호기심을 키워주기도 하는 그런 책이었네요.
반사회성 인격장애라는
진단명이 존재할 뿐, 아직 그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사이코패스에 대한 연구는 뇌과학의 발달과 함께 활기를
더해가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 책에서는 뇌과학의 연구 결과뿐 아니라,
역사와 사회 속에서 사이코패스를 들여다볼 수 있기도 합니다. 알래스카 소수민족과 아프리카
민족집단에서 사이코패스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 인물을 표현하는 단어들을 찾을 수 있다는 것도 흥미로웠고요. 그리스의
잔인한 고문기구인 놋쇠황소를 만든 페릴라우스에 대한 분석도 기억에 남습니다. 고통으로 비명을 지르는
사람의 소리를 소의 울음소리처럼 들리게 계산하여 설계를 했다는 것을 보면,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는
사이코패스의 모습이 드러난 것처럼 보이더군요. 제가 가장 인상적으로 보는 사이코패스의 문제가 바로 이러한
공감성 결여인데요.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를
분석하여 마치 문제를 풀 듯이 유추해내는 특성이죠. 그래서 이성적으로는 선악을 구별할 수 있을지 몰라도
감정적으로는 자신의 잘못을 알지 못한다니 제가 알 수 없는 세계에 대해 궁금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책을 읽으며 기억에
남는 것은 바로 그들의 뇌가 쾌락으로 치우쳐져 있다는 것입니다. 잡히면 벌을 받는다는 것을 쉽게 간과하기
때문에, 연쇄살인이라는 극단적인 형태까지 나오는 것입니다. 처음에
다양한 인물들이 소개될 때도, 자신이 저지른 범죄가 주목 받을수록 도리어 더 많이 상대를 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니까 말이죠. 물론 사이코패스가 모두 범죄자가 되는 것은 아니죠. 다양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본 적이 있는데요. 책에서는 여기에
대한 부분을 조금 더 주목하여, 그들과의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