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 어원사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ㅣ 잘난 척 인문학
이재운 지음 / 노마드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책 제목부터 정말 재미있는,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고조선시대부터
광복 이후까지 시대별로 우리 말이 정리되어 있어서, 마치 역사를 공부하는 느낌도 조금 들었습니다. ‘황제’라는 단어를 보며 진시황이 사용한 단어로, 주나라 때 “황제로 옹립했다”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잘 못 사용한 것이 된다는 설명이 붙어 있어서 더욱 그러하죠.
고조선 시대의 단어들 중에 기억에 나는 것은 ‘상인商人’입니다. ‘장사를
업으로 하는 사람’을 뜻하는데, ‘상나라 사람’이라는 뜻을 갖고 있었어요.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상나라 사람들이
정치에서 배제되면서 장사를 시작하면서 만들어진 단어라고 하더군요. 또한 부처의 설법을 뜻하는 ‘횡설수설’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다른 뜻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유래가 다른 단어이기도 하네요. 우리나라에서는 긍정적으로 사용되는 팔방미인이 일본에서는 부정적인
단어로 사용되고 있거든요. 이와 유사하게 느껴져서 더욱 흥미로웠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수라’라는 단어가 먼저 떠오릅니다. ‘임금의 진지’를 뜻하는 수라는 몽골어 술런에서 온 것이라고 하는데, 미처 생각지
못했던 어원이었네요. 그리고 낙창공주와 서덕언의 슬프지만 더없이 아름다운 이야기가 더해졌던 ‘파경’도 있었어요. 또한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단어로는 좀 무서운 단어가 떠오르네요. 바로 ‘도저히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다’라는 뜻이 ‘도무지’입니다. 이는 물에 담근 한지를 얼굴에 몇 겹씩 발라 질식사를 하게
했던 도모지라는 형벌에서 나온 말이라고 해요. 이런 표현이 맞지는 않겠지만, 정말 도무지한 상황이었을 거 같아요. 그러한 형벌이 있었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일상적인 단어로 정착한 것도 놀라웠습니다.
그리고 개화기와 광복 후로 오면 아무래도 일본어와 영어에서 나온
단어들이 많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 중에 ‘버스’는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먼저 버스운행이 시작되었다고 해서 기억에 남고요. 그리고
변절자를 뜻하는 ‘사쿠라’가 ‘사쿠라니쿠’를 잘 못 줄인 말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벚꽃색을 띠고 있는 말고기(사쿠라니쿠)를 소고기로 오인해서 구입하는 것을 변절자로 이야기한 것인데, 이를
가지고 ‘사쿠라가 피었다’라는 식의 표현까지 사용하고 있다니
조금 안타깝게 느껴지더군요. 그리고 정말 익숙하게 느껴지는 청양고추가 1983년에 만들어진 말이라는 것도 놀랍더군요. 우리말의 어원도 재미있고, 더불어 언어를 통해 역사까지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