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는 춤추고 싶다 - 좋은 리듬을 만드는 춤의 과학
장동선.줄리아 크리스텐슨 지음, 염정용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1월
평점 :
일시품절
저도 가끔 기분이 좋으면 막춤을 추기도 하는데요. 이상하게 되도 않는
몸짓을 하면서 기쁨이 더 커지는 느낌이 들 때가 많아요. 사람들은 때로는 춤을 추고 싶어하고, 춤을 추면 행복해진다고 막연하게 알고 있지만, 그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책은 처음 본 것 같아요. 바로 뇌과학자 장동선과 심리과학자 줄리아 F.크리스텐슨의 <뇌는 춤추고 싶다>입니다.
뇌과학
박사 장동선은 ‘알쓸신잡2’에서 유쾌함이 돋보였는데, 책에서도 그러하더군요. 글도 그렇지만 정말 춤추고 싶게 만드는 표지와
각자의 논리를 펼치고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 등장하는 캐리커처까지도 유쾌한 느낌이었어요. 그래서
과학도서임에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춤을 배우거나 추면서 사람들의 뇌에서는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과 함께 춤을 출 때, 두 사람의 뇌에서는 어떠한
공명이 이루어지는지 알수록 더욱 신기하더라고요.
결혼하고
얼마되지 않았을 때, 공통의 취미를 가져야 한다는 강박감에 남편과 함께 춤을 배우러 다닌 적이 있었어요. 물론 책을 읽다 보니, 춤을 리드하는 역할을 남자가 맡기 때문에
더 많은 부담감을 가졌을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서, 내 맘대로 안 되는 내 몸 때문에 투정을 많이
부렸던 것이 미안하기는 하지만요. 서로고 이해하고 공감하면 생기는 뇌파의 싱크가 같은 움직임으로 춤을
추면서 생기는 뇌파 싱크와 유사하고 심지어 더욱 강렬하다니, 괜찮은 선택이었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결혼 초기에 발생하기 쉬운 갈등이 별로 없었던 이유였을까 싶기도 해요.
고대
중국의 책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을 동이족이라 하여 춤도 잘 추고 노래도 잘 부르고 했다고 기록했더군요. 물론 그건 지금까지도 이어오고 있는 것 같은데요. 하지만 점점 더
책상에 묶여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휴식을 위해서 쇼파와 한 몸이 되기도 하고 그런 현대인에게, 춤이라는 것이 정말 좋은 치료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뭐
정 안되면 TV에서 연예인들이 추는 춤을 보면서 따라하는 것도 좋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