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의 줄다리기 - 언어 속 숨은 이데올로기 톺아보기
신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내 생각을 언어로 통해서 표현을 하고, 언어는 도구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여겼던 적도 있어요. 하지만 여러 권의 책을 읽다보니, 도리어
언어가 나의 생각을 재규정하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이번에 읽은 <언어의 줄다리기>역시 언어가 갖고 있는 이러한 힘에 대해
주목하고 있는 책인데요.
‘줄다리기’라는 독특한 제목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이 바로 ‘자장면’과 ‘짜장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닐까 싶어요. 관이 일방적으로 강요한 것이 ‘자장면’이잖아요. 그때 친구들이 그러면 ‘자파게티’, ‘자짜로니’로 바꿔야하는 거 아니냐며 농담을 했던 기억도 나네요. 결국 사람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는 ‘짜장면’으로 돌아온 것, 언어라는 것 자체가 사람들 간의 약속이라고 할 수
있는데, 대중이 사용하는 언어를 관이 마음대로 정비하는 것이 얼마나 무모한 일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됩니다.
또한
성차별적인 언어의 줄다리기도 많았는데요. ‘아직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의 ‘미망인’, 이 뜻은 알고 있었지만 이 유래가 중국에
순장제도라는 것에 또 한번 놀라게 되었는데요. 한자어는 아무래도 요즘 한자를 병용하지 않기 때문에, 그 뜻을 들여다보면 과연 현대에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크게 거느리고 다스리는 사람’의 대통령 역시,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의 수장으로 어울리지 않는 단어입니다. 물론
이러한 단어들을 다른 단어로 대체하는 것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과 비용과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요. 그래서
그 뜻을 더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나 싶어요. 청년이 남성을 뜻하는 단어였어요. 물론 책에서는 아직은 아니라고 했지만, 저에게는 청년하면 남성과
여성을 아우르는 말로 인식되니까요. 또 성차별적인 단어인 여류작가 같은 말은 요즘 잘 안 사용하려고
하잖아요. 언어는 세월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힘이 있으니, 그런 방향으로 노력해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