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 현대인과 기독교의 만남을 위하여
손봉호 지음 / 샘터사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종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으로서, 사역자이며 철학자이자 윤리학자인 저자 손봉호가 현대인에게 기독교가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부터 상당히 신선한 느낌이 들었어요. 종교인에게 종교라는 것은 어쩌면 자연의 섭리처럼 너무나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해왔기 때문이죠. 책 제목인 <나는 누구인가>처럼 이 책은 근원적인 질문으로 가득 차있습니다.

하나님은 과연 계시는가, 그리고 현대인에게 성경, 예수, 교회가 필요한가와 같은 주제를 가지고 성경에서 답을 찾는다는 것, 처음에는 약간 '답은 정해져 있고 넌 대답만 하면 돼'라는 뜻의 신조어인 답정너같은 느낌이었죠. 하지만 절대적인 믿음의 차원이 아니라, 그러한 질문을 던질 수 있다는 것은 종교가 없는 사람들이 가질법한 기독교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켜주는 면이 많더라고요. “내가 믿습니다. 믿음 없는 나를 도와주십시오라는 도입부가 더욱 그런 용기를 전해주기도 하고요. 물론 과학적 세계관을 폐쇄적 세계관으로 이해하는 것은 상당히 독특한 느낌이 들었어요. 또한 현대인들이 비슷한 생활양식과 사고방식을 갖게 되는 원인을 해석하는 것도 그러했고요. 저는 종교적 세계관을 폐쇄적이라고 지금까지 생각해왔고, 또한 같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은 문화의 차이도 뛰어 넘어 쉽게 공감대를 형성한다고 여겼거든요. 제 생각과 전혀 결이 다른 방향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 역시 신선한 경험이었습니다.

그리고 책 제목이기도 한, 세가지 질문이 등장합니다. 바로 나는 누구인가, 왜 사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인데요. 이런 질문에 과학이 답을 내줄 수는 없다는 것은 공감할 수 밖에 없네요. 여기에는 딱히 정답이 없고, 딱히 이론이 필요하지 않고, 저자의 표현대로 실존적인 문제이고, 실존적인 결단의 차원이니까요. 그렇다면 기독교를 통해서는 이 답을 찾아나갈 수 있을까, 라고 생각했던 저는 책을 읽다가 문득 깨달았어요. 여전히 과학적인 사고방식에 익숙해서, 아니면 답을 찾는 것에 집착하는 성향이 여전하다는 것이죠. 답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답을 찾는 과정에 나만의 답을 찾고자 하기보다는 책에서 말하고 싶은 답이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것, 어쩌면 저야말로 진정한 답정너인 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