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
가와카미 가즈토 지음, 김해용 옮김 / 박하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부터 유쾌함이 넘쳐 흐르는 <조류학자라고 새를 다 좋아하는 건 아닙니다만>

가와카미 가즈토는 제일 먼저 꽃가루를 포착하고 누구보다 늦게까지 이 몸을 티슈 상자에 맡긴다며 자신을 유행에 민감한 사람으로 소개하지만, 직업은 그 반대로 멸종위기라는 조류학자인데요. 물론 제목이 주는 분위기가 확실해서, 재미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하며 읽기 시작했지만, 진짜 제가 상상한 것 이상으로 많이 웃으면서 봤네요.

새를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무인도를 방문하기도 하는데요. 섬에 최대 중량을 가진 척추동물이 곰쥐일 것만 무인도 니시지마에서 자신의 팔에 붙은 모기를 보면서 저 모기를 잡으면 내 손에 쥐의 피가?’라는 생각을 하는 것도 웃기고요. 그 사이에 너무나 당연하게 모기는 소정의 목표를 달성하고 떠나버리고요. 그러고보니 엄청난 식욕을 자랑하는 곰쥐와 땅속에 둥지를 트는 슴새 그리고 갑자기 날아오르는데 취약한 날개 형태를 가진 바닷새는 천적관계더군요. 예전에 섬을 찾은 사람의 고양이가 멸종된 줄 알았던 새를 발견하지만, 그 고양이에 의해 정말 짧은 시간 내에 멸종되어버렸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도 떠올랐어요. 새와 사람 그리고 새를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생명체에 대한 이야기도 다양하게 등장하더군요.

조류학자도 멸종 위기라지만, 조류 역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 많더군요. 그 중에 저자와도 관련이 많은 브라이언스 쉬어워터가 있어요. 하와이에서 발견된 소형슴새 중에 하나인데 1964년에 포획된 표본의 DNA를 분석하여 신종으로 판명되었어요. 하지만 그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멸종 가능성이 있었는데,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과거에 비슷한 새의 개체가 시료로 보존되어 있었던 것이죠. 이 새들의 표본을 조사한 결과 브라이언스 쉬어워터와 같은 종임이 판명되었고, 그가 속한 연구팀이 이를 발표하면서 화제가 되었다고 해요. 물론 여기에는 그가 연구자로서 후회와 참회를 더한 뒷이야기가 조금 있었지만 분류학자가 아닌 생태학자인 그로서는 어쩔 수 없었던 문제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더군요.

그리고 원시자연환경보전지역인 미나미이오토에 조사자로 참여했던 이야기는 무엇보다도 나중에 영상을 통해 그 곳을 다시 만나며 분개하던 도시인의 마음이 이해가 되더군요. 원시자연이 아름다운 것은 영상으로 봤을 때뿐이라는 것을 저 역시 경험한 적이 있어서~ ^^ 너무나 많이 웃으면서 책을 봐서인지, 전작도 궁금해지더라고요. 제목부터 조류학자, 무모하게도 공룡일 이야기하다라니~ 번역이 안되어 있어서 아쉬웠지만, 유머코드가 너무나 잘 맞는 작가라 원서로 주문합니다. 물론 이 책을 계기로 전작도 번역되기를 바라는 마음도 크고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