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의 기억
줄리언 반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영국 작가 줄리언 반스, 그의 소설을 읽다보면 특유의 감성, 왠지 영국적이라고 말하고 싶은 언어유희부터 건조하면서도 깊이 있는 시선에 빠져들게 되는데요. 이번에 읽은 <연애의 기억>을 읽으면서, 줄리언 반스가 쓴 단 하나의 연애소설이기보다는 마치 그가 가지 못한 길에 대한 이야기를 읽는 듯한 기분이 들었어요. 그래서 살펴보니 소설의 주인공 케이시 폴이 자신을 소개할 때 사용하던 표현처럼 겨우 열아홉밖에 되지 않았을 시절 즈음에 줄리언 반스 역시 비슷한 시간을 걸었던 적이 있었더군요.

방학을 맞이하여 런던 교외의 집으로 돌아온 대학생 폴, 그는 부모님의 강권에 의해 사교무대로의 첫발이 될 수 있는 테니스클럽에 예비멤버로 등록하게 되는데요. 추첨식 혼합복식대회에서 제비를 뽑아, 하지만 후에는 제비란 운명이 다른 이름이라고 기억할 그 날 48세의 여인 수잔을 만나 운명처럼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삶에 웃음을 터트릴 줄 아는 여자 수잔은 인생을 책으로 배워온 폴의 마음을 뒤흔드는데요. 결국 두 사람의 관계로 인해 테니스 클럽에서 제명이 되지만, 그런 비난에도 도리어 자신의 사랑이 공인되었다고 생각하는 폴의 그 뜨거운 열정이 참 그 나이답다는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하지만 노인이 되어 그 시절을 떠올리던 폴, 중간에 기억은 기억하는 사람의 몫이라고 담담하게 털어놓았던 것처럼 어쩌면 그 시절에 대한 애틋함이 만들어낸 기억일 수 도 있겠지요. 소설을 읽으며 내내 추측해야 했던 수잔에 대한 이야기는 그래서 저에게는 또 하나의 애틋함이 되었던 것 같기도 하고요.

동화 속의 사랑이 현실이 될 수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1부는 이 일에 대한 내 기억이 이게 다였으면 좋겠다. 가능하기만 하다면. 하지만 가능하지가 않았다.”라는 씁쓸한 회고로 마무리됩니다. 저는 아직도 동화처럼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답니다로 끝났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며 살아가는 사람이라 그럴까요? 사랑이 믿음으로, 그리고 지켜지지 못할 믿음이 의무로 결국은 재난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하며 그렇게 변해가는 사랑을 보며 참 안타깝더군요. 누구의 잘못이라고 딱 부러지게 나눌 수도 없는 것이 그래요. 조금 더 상대를 생각했던 것뿐인데, 그런 일들은 오해로 번져가고, 결국 삶에 더 이상 웃음을 짓지 못하게 되는 수잔의 모습도 그렇고요.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서 끌어나가던 첫 번째 이야기와 달리, 점점 자신을 타자화하고, 결국은 전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려주듯이 하는 폴, 처음에 그가 말했던 것처럼 이 이야기는 기억입니다. 기억, 시간 그리고 관계에서 느껴지는 감각이 소설로 이렇게까지 잘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롭기도 하고, 만약 가능하다면 수잔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기도 했어요. 아니네요. 그렇기에 원제처럼 “THE ONLY STORY”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