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루오션, 꿈의 심리학
김정희,이호형 지음 / 책읽는귀족 / 2018년 3월
평점 :
꾸고 나면 너무나 선명해서 메모를 해두기도 하고, 언젠가 꿈에서 봤던
장면이 현실에서 그대로 펼쳐지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지요. 물론 이런 경우보다는 도저히 그 의미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홀로 방황하거나, 맥락이 전혀 연결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질 때가 많죠. 때로는 분명히 중요한 의미가 있어서 정말 간절한 심정으로 움직였던 거 같은데 그 감각만 살아있을 뿐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을 때도 많아요. 물론 꿈을 꾸고 나면, 잠을
잤어도 피곤한 느낌을 받을 때가 많아서 개인적으로는 꿈이라는 것이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불만 가득한 의문을 가질 때도 많았습니다.
물론 꿈을 분석하는 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많이 바꿀 수 있었는데요. 어차피
자신의 의지라 꿈을 안 꾸는 것이 힘들다면, 그 것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겠지요. 이번에 읽은 <블루오션, 꿈의 심리학>역시 그런 도움을 주는 책입니다. 이 책은 2018년 3월, 국립중앙도서관 사서 추천도서 중 심리학 분야에 선정된 <꿈을
읽다>의 후속작인데요. 꿈을 통해서 개인의 심리와 정서를
들여다볼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습니다. 한 사람의 인격 통합을 주된 목표로 하고 있는
게슈탈트 심리치료의 창시자인 펄스는 꿈에 대해서 ‘꿈꾸는 사람이 자신에게 보내는 자신의 실존적 메시지’라고 했다고 하는데요. 책을 다 읽고 나니 이 말이 다시 떠오를 정도였네요.
이 책에서 제가 제일 흥미롭게 생각한 것은 꿈이 낮에 생활할 때 떠오르는 것도 외면하지 말라는 것인데요. 저는 꿈을 꾸고 기억나는 것이 아니면 별 의미가 없다고 나름 생각했기에 그 부분이 저에게는 특별하게 다가왔던
거 같아요. 그럴 때에는 단순히 꿈의 내용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꿈을 갑자기 떠오르게 한 상황이나 생각 같은 것을 같이 적어두면 더욱 자신의 정서를 들여다 보는데 도움이 된다고 해요. 그 뿐만 아니라 낮에도 자신의 감정적인 변화를 기록하는 것도 좋다고 해요. 비슷한
일에도 자신의 감정의 수위가 달라질 때가 있잖아요. 그러면 주변을 살펴보고, 나를 자극하는 것들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 것이 나의 이전 시간과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보는 것이죠. 특히나 이 책에서는 문답식으로 꿈을 해석해주는데, 집단적인 방법과 개인적인 방법이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서 자신을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기억에 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