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사를 바꾼 위대한 과학 - 만유인력.원자 구조.상대성 이론.빅뱅.진화론.유전 법칙.DNA
아놀드 R.브로디.데이비드 엘리엇 브로디 지음, 김은영 옮김 / 글담출판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과학을 재미있게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거 같아요. 저 역시 여러 권을 읽으며, 학창 시절에 읽었다면 더욱 좋았겠다고 생각하기도 했는데요. 이번에는 시험을 잘 보기 위해 무조건적으로 암기했던 지식과 그 동안 제 관심사에 따라 읽어왔던 자연과학서 심지어 사회과학서까지 잘 묶어주는 책을 만나게 되었네요. 바로 <인류사를 바꾼 위대한 과학>입니다.

만유인력, 원자 구조, 상대성 이론, 빅뱅, 진화론, 유전 법칙, DNA’, 이 것이 바로 역사를 움직인 7가지의 과학이고 이를 이끌어나간 10명의 과학자를 만날 수 있는데요. 물론 경천동지할 과학이론이었지만, 이는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었습니다. 뉴턴이 자신이 이룬 과학적 성취에 대해 내가 더 멀리 볼 수 있었다면, 그것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서 있기 때문"이라고 했던 것처럼 말이죠. 수많은 과학자들이 그 토대를 닦고 쌓아온 과정 역시 흥미롭더라고요. 그렇게 세상을 바꾼 과학이 등장했지만, 세상의 이해를 받기 위해서 과학을 넘어 철학, 윤리, 종교적인 논쟁으로 이어지기도 했고요. 덕분에 과학사에 대한 책을 읽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아서, 더욱 재미있었던 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윈의 진화론을 둘러싼 토론이 기억에 남는데요. 다윈의 대변인이었던 헉슬리의 발언은 정말 유쾌, 상쾌, 통쾌하더군요.

아직은 어렵게 느껴지는 에드윈 허블의 빅뱅이론도 있었고, 여전히 뉴턴이 근대를 열었다면 현대를 연 것은 아인슈타인이 아닐까라는 생각 정도로 멈춰 있는 상대성 이론도 있지만요. 적어도 이 이론들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알 수 있어서 좋았어요. 이 이론들이 만들어낸 사회적 파장과 변화, 그리고 인류의 문명에 어떠한 기여를 했는지 정도는 이해할 수 있었으니까요. 어쩌면 과학이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과학 이론 자체를 이해하고 싶어해서가 아닐까 해요.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대 문명의 토대가 되는 것이 과학이고, 물론 그 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지만, 그 성과물은 나름 활용하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이런 식의 접근도 의미 있게 느껴지고, 이를 통해서 세상을 바꾼 과학을 이해하는 접근법이 흥미롭고, 제가 읽어온 교양과학서중에서 이 책이 백미가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