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이 행복해지는 긍정의 심리학
로버드 D. 아이셋 지음, 이문영 옮김 / 소울메이트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OECD 회원국 34개국 중에서 32위라는 통계 자료를 얼마 전에 뉴스에서 본 이후로, 정말 우리가 행복하지 않은가? 하는 문제를 생각해 보게 되었다. 진정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현재 인간관계에서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가? 하는 생각들을 해 보게 되었다.
그러한 즈음에 이 책 [내 인생이 행복해지는 긍정의 심리학]을 만나게 되었는데, 사실 처음 생각했던 것과는 너무나도 행복에 대해서 접근하는 방법이 다른 책이었다. 달라이 라마의 [당신은 행복한가]라던가, 틱낫한의 [지금 이 순간 그대로 행복하라] 등의 책에서는 마음 수양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 보는 연습을 통해 각성함으로써 행복한 감정을 느끼도록 이끌고 있다면, 이 책은 임상심리 상담인 저자가 개인 상담 등을 통해서 얻은 방법을 기본원칙 12가지로 정리해서 들려주고 있었다. 저자가 책의 서문에 밝혔듯이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읽어야 하며, 또한 원칙 하나 하나를 끝내고 나서 나오는 문제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 지고, 이 책에서 학습한 내용을 숙지하는 시간을 가길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었다.
다소 지루할 수도 있는 책이나, 이 책이 예기하는 것은 명확하다.
“긍정적인 감정을 이용해 행복을 끌어올려라” – 정말 간단해 보이는 이 예기를 하기 위해 저자는 제일 먼저 ‘상황이 아닌 사고방식이 감정을 일으킨다’라는 기본원칙 01을 예기하고 있는데, 사실 처음부터 여태 알고 있던 감정에 대한 생각을 바꾸어야 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외부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아니라, 내가 사고하는 방식에 의해서 슬픔, 분노, 고통 등의 감정이 생긴다는 것으로, 롤러코스트를 타는 상황으로 이 부분을 설명하고 있으며, 또한 ABC 모델로 감정을 일으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 부분을 받아들이게 된다면 이 책을 통해서 하는 긍정적인 감정을 통해 행복을 끌어올리는 여정이 쉽고, 재미있고, 지루하지 않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이 부분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이 드는 것은, 나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기본원칙 1부터 3까지가 가장 많은 시간을 들여서 읽고 생각한 부분이 아닌가 한다.
그런 다음 저자는 ‘잘 생각할 것, 안전한 생각과 행동의 반복성, 감정에 귀 기울이고 보살펴 줄 것, 행복의 지속성, 받지 못한 사랑을 본인에게 주는 법, 생각을 바꾸는 도구, 스스로 보살피는 법 등’의 기본원칙들을 예기해 주고 있다. 이러한 기본원칙의 끝에는 “행복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행복이 지속된다”, “잘 생각하고 느낄 줄 알아야 행복해 진다”를 예기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정서적인 안정을 예기하는 부분은 부모라면 꼭 읽어보길 권한다. 아이들의 정서가 부모의 정서 언어에서 비롯되며, 이러하기에 부모가 먼저 정서적인 편안함, 행복한 감정을 느끼는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아이들에게 지속적으로 행복한 정서 언어를 전달해야 한다는 부분에서 느끼게 되는 바가 많았다.
이 책은 결코 쉽지 않은 책이다. 하지만 읽어볼 가치는 충분하다. 사람이 어디에서 행복을 느끼는지, 어떻게 해야 긍정적인 감정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지속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한 지혜를 배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통해 행복을 어떻게 끌어올릴 수 있는 지에 대한 사유를 할 수 있는 책이다. 오늘날 현대인이 많이 앓고 있는 우울증, 자괴감 상실 등의 문제를 생각한다면, 꼭 읽고, 자신감 고취와 더불어 외부 현상들을 어떻게 받아들일지에 대한 지혜를 깨우치는 시간을 가지기에 더 없이 좋은 책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