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학자의 영화관 - 그들은 어떻게 영화에서 경제를 읽어내는가
박병률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 일상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경제활동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생각해보지 않아도 알 수 있지만, 우리들이 즐겨 보는 영화 속에서도 경제학이라는 분야로 설명할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이 책 [경제학자의 영화관]이 이런 의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주고 있다.
사실 경제학은 일반인들에게는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너무나 많은 이론과 더불어 익숙하지 않은 그래프와 통계를 코 앞에 들이미는 서적들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은 이러한 점을 생각했는지, 경제학을 영화 속의 장면에서 끌어 내어 소개하고 있다.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경제원리, 경제심리, 경제사, 현실경제, 경제지표 등에 대한 것들을 영화 속의 장면을 통해서 설명을 해 주고 있어서 무척이나 이해하기 쉽고 다가가가 쉽도록 해 준다.
[레터스 투 줄리엣]이라는 영화에서는 ‘한계효용의 법칙’을 설명하고, [은교]에서는 ‘넛지효과’를, ‘만추’에서는 스타벅스와 같은 유명 커피숍에서 마시는 커피에 대해서 예기하면서 ‘베블런 효과, 파노블리 효과, 스놉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영화 [광해]에서는 대동법을 통해서 부자증세에 대한 예기를 하고 있으며, 현재 우리 사회가 예기하는 복지에 대한 예기도 들어 볼 수 있다.
또한 [마당을 나온 암탉]에서는 자본주의의 변화사를 예기하면서, 지금 최근에 예기되고 있는 자본주의 4.0이 어떤 의미이며, 이것이 얼마나 자연과 닮았는지에 대해서 예기해 주고 있다.
우리들이 익히 보는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한 명대사나 명장면을 통해서 영화를 다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좋았고, 또한 이런 명대사, 명장면들과 연관된 경제학적인 상식들을 얻을 수 있어 좋았다. 무턱대고 경제학 용어와 설명만을 들었다면 너무나 지루했을 것을 영화와 접목하여 들여주어서 참으로 고마웠다. 한 영화를 통해서 설명한 경제학 상식에 대해서 뒤에 부연 설명을 해 주고 있는 것도 독자를 배려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좋았다.
이 책을 통해 경제학 상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또한 영화 속 장면과 매치가 되어서 그런지 쉽게 잊혀지지 않는 효과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책이 다소 두껍기는 하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며, 지루하지 않아서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경제학에 대한 기초상식을 쌓고 싶은 분들에게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