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히틀러의 아이였습니다 - '레벤스보른 프로젝트'가 지운 나의 뿌리를 찾아서
잉그리드 폰 울하펜.팀 테이트 지음, 강경이 옮김 / 휴머니스트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제 레벤스보른이란 독일의 작전에 의해 부모와 떨어져 독일 양부모와 살아야 했던, 사실은 유고슬라비아인 잉그리트 폰 윌하펜이자 에리카 마트코이기도 한 이의 이야기다.

작가는 어릴 적부터 사랑을 갈구하지만, 뭔가 벽이 있음을 느낀다. 어머니는 자신을 보육원에 맡겼고 제대로 보살피지도 사랑을 주지도 않았다. 아버지는 엄격했고, 유일하게 믿고 의지했던 남동생 또한 어느 날 친부모에게 돌아갔다고 한다.

무슨 일이 내게 벌어진 걸까. 내 부모 내 뿌리는 뭐지란 의문에서 시작된 그녀의 여정은, 결국 독일의 만행으로 시작된다.

위대한 아리아인을 표방한 인종정리를 위해, 그들은 유대인 및 혼혈, 장애인 등 수많은 이들을 학살했다. 그리고 아리아인의 표본에 맞는 아이들을 수많은 부모에게서 빼앗아, 그들이 믿는 순수 아리아혈통에 강제입양시켰다. 그 표본에 맞지 않을 시는 가차 없이 죽이거나 노예로 썼으며, 전쟁 후엔 이 사실을 숨기려 했다.

뿌리 없는 삶은 흔들리게 되어 있다. 특히 연약한 아이들에게 뿌리 없는 삶은 가혹하다. 다른 곳에 옮겨 심어도 그들은 자라기가 쉽지 않고, 언제나 작은 바람에도 흔들린다.

레벤스보른의 아이들이 그랬다. 그들은 잔혹하게 부모에게서 납치되어, 모국어를 버리게 했고 정체성을 잔인하게 벗겨냈다. 훌륭하고 쓸모 있는 독일인의 도구가 되어야 했다. 훌륭한 독일군인의 사생아들이 태어나는 것 또한 그들은 장려했다. 그렇지만 장애가 있거나 하면 여지없이 독가스행이었다. 그들에게 아이들은 그저 도구였고, 필요에 의해선 어떤 짓이든 할 수 있는 무생물 같은 존재였다. 그나마 다행히 좋은 부모를 만나 어릴 적부터 자신의 존재를 제대로 알고 살아왔다면 충격이 덜 하겠지만, 좋지 못한 부모를 만나 상처 속에서 자란다면? 그들의 삶은 누가 보상해 줄 수 있을까. 실제 부모에게서 납치되어, 굶주림과 두려움 속에 기차에 짐처럼 실린 체, 여기저기 끌려 다니며 코 길이를 재고, 몸을 찌르고 눈 색깔을 확인해야 된다면?

지독한 농담 같지만 실제로 그런 일들이 행해졌고 시행되었고, 수많은 레벤스보른 아이들은 이제 백발의 노인이 되어, 여전히 상처입은 마음으로 치유되지 못한 삶 속에서 뿌리를 찾으려 한다. 뿌리라도 찾으면 이 허망하고 쓸쓸한 마음이, 상처가 외로움이 치유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

주인공은 슬로베니아의 가족을 찾는다. 그리고 레벤스보른의 아이들은 생명의 샘이란 이름대신 “레벤소보른”즉 생명의 흔적이란 단체를 만들어 교류하고 위로한다.

노르웨이는 특히 레벤스보른의 아이들이 많았다. 전형적인 위대한 아리아인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그 아이들은 노르웨이에서 적국의 아이로, 치명과 오욕의 아이로 버림받았다. 모두 독일로 보내려 했으나 실패했고, 결국 보육원이나 정신병원에 강제 수용되었다.

강제로 뿌리가 뽑힌 체, 낯선 환경에서 자란 그들, 작가는 정작 나치가 그렇게 집착하던 피라는 건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저는 평생 제가 부족하다고 느끼며 살았습니다. 제가 진짜 누구인지, 정말 어디에서 왔는지 알지 못했지요. 그것은 제 안에 큰 상처를 남겼습니다. 늘 묻고 싶은 것이 있었지만, 최근까지도 물어볼 사람이 없었죠. 하지만 이제 저는 인종 검사를 해서 사람을 선별하고, 국가가 조직적으로 아이들을 훔친 끔찍한 일이 있었다는 걸 세상이 잊지 않도록 모든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비로 고통스럽더라도 말입니다. 그런 일이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되니까요.”>



<“양육이 모든 것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양육은 언제나 본성을 이길 길을 찾는다.”우리가 태생의 조건의 아니라 살아가는 내내 우리가 내리는 선택으로 정의된다는 근본적인 진실을 보지 못했다.>



외로움과 힘듦 속에 작가는 가족을 가지지 않겠다고 결심했다. 물리치료사가 되어 아픈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는 삶을 살며, 자신을 찾았다.



<나는 한때 유고슬라비아 출신 에리카 마트코였고, 독일인 일그리트 폰 윌하펜이었다. 둘 다 나였다. 그리고 이제 나는 잉그리트 마트코 폰 윌하펜이다. 그게 항상 나였다.>

나는 평생 내 감정을 억누르려 애썼다. 버림 받았다는 느낌, 무력하다는 느낌이 차올라 나를 집어삼키지 않도록 그 감정을 깊이 묻어두려 했다. 이 사진들 앞에서 내 감정을 감추고 있던 보호막이 벗겨졌다. 나는 다시 에리카 마트코가 되었다.
1 사

단연코 뿌리뽑힘은 인간 사회가 경험하는 가장 위험한 병폐다.
뿌리뽑힌 사람은 누구든 다른 사람의 뿌리를 뽑는다. 뿌리내린 사람은 다른 사람의 뿌리를 뽑지 않는다. 어쩌면 뿌리내림은 가장 중요하면서 간과되는 인간 영혼의 욕구이다.
이 인용문은 프랑스 철학자이자 활동가 시몬 베유의 글이다. 그녀는 1930년대 초 독일에서 파시즘과 싸웠고 나중에 스페인 내전에서는 공화국 편에서 싸웠다. 1943년 그녀는 《뿌리내림》이라는 책을 써서 서구 사회를 약화시키는 사회적·문화적·정신적 문제를 들여다봤다. 우리가 선택한 이 인용문은 우리 삶의 이야기를 완벽하게 요약한 것이었다.

1. 인종적 유전적으로 소중한 대가족을 지원한다
2.인종과 정착 본부가 가족과 아이의 아버지를 신중히 조사한뒤 인종적 유전적으로 소중한 아이를 출산하리라 기대되는,
인종적·유전적으로 소중한 임산부를 수용하고 돌본다.
3. 그렇게 태어난 아이들을 돌본다.
4. 그 아이들의 어머니들을 돌본다.
전쟁 중에 태어나 히틀러의 뒤틀린 환상이 남긴 유산을 감당하려애쓰는 나라에서 평생을 보낸 독일인인 내게도 정신 나간 소리로 들렸다. 이런 해괴한 미친 짓을 가리키는 독일어가 있다. 운글라우블리히(unglaublich), 믿을 수 없다는 뜻이다. 어떻게 사람의 인종적·유전적 가치를 ‘증명‘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런 해괴한 생각이 어떻게현실화될 수 있었을까?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1-04-26 21:0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댓글 수정하다가 삭제되어서 다시 씁니다.
실제로 이런 일이 있었다는 것을 믿기도 어렵지만, 그 시기를 겪은 생존자에게는 큰 상처일 것 같아요. 한 사람의 일생을 보상할만한 것도 없을 것 같고요. 이런 일은 다시는 없어야 할 거예요.
잘 읽었습니다.
mini74님,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mini74 2021-04-26 21:16   좋아요 5 | URL
네~ 작가님이 정체성을 찾고 스스로를 인정해 나가는 모습이 너무 힘겹고 안타까웠어요. 너무나 어리석고 끔찍한 일 다신 없어야지요. 서니데이님도 즐거운 저녁 보내세요 ~

scott 2021-04-26 21:15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오우ㅜ.ㅜ
머리크기 재면서 인종 검사를 ,,,,,
유대인 혼혈,장애인,,,
**정리**말살**청소

[뿌리뽑힌 사람은 누구든 다른 사람의 뿌리를 뽑는다. 뿌리내린 사람은 다른 사람의 뿌리를 뽑지 않는다. ],

이런끔찍함 여전히 진행중 ㅠ.ㅠ

han22598 2021-04-27 00: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로 다름을 그대로 두지 않고 다름에 대한 가치판단이 개입되기 시작하면서부터는 가해자,피해자 우리의 삶은 모두 피폐해지는 것 같아요. 저도 꼭 읽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리뷰 감사해요 ^^

레삭매냐 2021-04-27 17:5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원래 레벤스보른의 출발점은 순수한
아리아인의 육성이었는데, 나중에
가서는 하도 다급하다 보니 점령지
에서 아리안족이 아닌 슬라브족까지
도 유사과학이 정한 규정에 맞으면
납치하는 비극이 벌어진 것 같습니다.

슬로베니아 사람으로 출발해서 결국
독일인이 된 저자의 기구한 운명이
안타까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