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331.공리주의-존 스튜어트 밀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 서평을 쓰면서 제가 한 말이 있습니다. 최근에 연속적으로 하나의 책에 대한 서평을 두 개 쓰는데, 처음에 쓰는 글은 책 내용을 대충 훑고, 다른 하나는 책에 대한 내 감정을 쓴다고. 그런데 <공리주의> 서평을 쓰다보니 처음에 쓴 글에 책 내용은 거의 없고 제 감정만 잔뜩 썼네요.^^;; 역시 저는 제 마음대로 어떤 형식에 관계없이 글을 쓰나봅니다. 제가 한 말에 비추어보면, 이제는 책 내용을 담은 글을 써야하는데, 제대로 될지 알 수 없네요. 그래도 어쨌든 써야 하기에 꾸역꾸역 적어 봅니다.

제가 공리주의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된 가장 큰 계기는 <정의란 무엇인가>였습니다. 그전에도 다른 책에서 벤담이나 밀에 대한 언급을 통해서 단편적으론 공리주의를 알긴 했지만, 관심의 정도는 떨어졌습니다. 그런데 <정의란 무엇인가>의 가장 앞 부분에 공리주의가 언급되고, 그걸 마이클 샌델이 비판하면서 저는 궁금했습니다. 공리주의가 무슨 말을 하는지에 대해서. 벤담의 말대로 개인의 행복이 수량화가 되는지도 궁금했고. 그런데 <공리주의>를 보니, 밀은 벤담이 이야기하는 행복의 계량화에서 이어지는 '양적 공리주의'를 인정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그는 벤담이 부정한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합니다. 지적이고 도덕적인 쾌락이 육체적인 쾌락보다 우월하다면서.

적어놓고 보니 '공리주의'에 대해서 말하지 않았군요.^^;; '공리주의'는 쉽게 말해서 개인의 행복과 사회 전체의 행복을 연결시키는 사상입니다.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인간 전체의 이익과 행복을 늘리는데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는 식으로. 벤담이 말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 공리주의의 핵심 사상을 잘 표현하고 있죠. 여기서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는 것이 '공리'입니다. 이 '공리'의 한문을 잘 봐야 합니다. 지금까지 저는 '공리주의'의 '공리'가 '공공이익'을 가리키는 것인지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을 보니 한자가 다르더군요. '공리주의'의 '공리'는 '公利'가 아니라 '功利'였습니다. 한자말과 책의 내용을 써서 풀이해보면, '공리주의'의 '공리'는 '공공이익'이 아니라 '행복이라는 목적을 얻기 위해 도움이 되는 것 ' 정도로 쓸 수 있습니다. 공리의 원어인 'utility''에도 이 뜻이 더 잘 맞는 것 같고요.

어쨌거나 벤담처럼 밀도 공리주의자로서 개인의 행복은 사회 전체의 행복에 기여를 해야한다고 주장합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위에서도 말했듯이 밀은 벤담처럼 수량화된 행복은 거부했습니다. 그는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고, 우리가 육체적인 쾌락 보다는 도덕적이고 지적인 쾌락을 추구하는 것이 더 낫다고 말합니다. 도적적 규범과 의무, 지적인 욕망을 더 높고 고귀한 행복의 추구와 연결시키는 듯한 이 주장은, 밀이 칸트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자신의 '공리주의' 안에 품었음을 보여주는 듯합니다. 적고보니 책에 대한 이야기는 더 이상 하지 않아도 될 듯 하네요. 이제 제가 할 말을 하고 글을 끝내겠습니다.^^

10대 청소년들이 유튜브를 보고 세상을 배우는 이 시대에 <공리주의>라는 윤리학 책을 읽는 것이 어쩌면 낡은 행동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이 세상에서 중요한 것은 시간이 지나도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윤리학이나 도덕철학에 대해서 논의하고 사고하는 것이 고색창연한 빛을 지니게 된다고 해서, 그 빛의 중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이 인간으로서 건재하다면, 인간 삶의 기본적인 것들은 쉽게 바뀌지 않으니까요. 우리의 삶이 지속되는 한, 우리가 인간으로서 사회를 이루고, 공동체를 이루며 살아가는 한,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논의들은 지속되어야 합니다. <공리주의>는 그렇게 시대를 흐르면서 지속되는 윤리적이고 도덕적인 논의의 한 버전일 뿐입니다. 우리가 할일이란, 우리 시대의 도덕적 윤리적 논의, 우리 시대의 공리주의적인 논쟁을 지속하는 것입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다이제스터 2021-04-28 20: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리주의 자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집니다. ^^

짜라투스트라 2021-04-28 23:05   좋아요 1 | URL
공리주의 자체를 깊이 생각해보지 않아서 질문을 받고 한 번 생각해봤습니다.^^ 일단 저는 기본적으로 공리주의에 큰 관심이 없습니다. 공리주의는 그냥 ‘공리주의‘구나 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어떤 개념이고 어떤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야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딱 그 정도에 그치고 맙니다. 철학책이나 고전에서 등장하는 개념으로서 알고 있지, 제 삶에는 공리주의 ‘공‘자도 등장하지 않거든요.^^

짜라투스트라 2021-04-28 23:19   좋아요 1 | URL
두 번째는 제가 생각하기에 저는 공리주의자에 가까운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공리주의자들을 좋아하지 않는 공리주의자, 공리주의에 비판적인 공리주의자, 필요나 상황에 따르면 공리주의를 버릴 수 있는 공리주의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공리주의라는 사상이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벤담 같은 경우는 행복이나 쾌락 같은 것들을 수량화할 수 있다고 말하는데, 저는 그게 수량화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벤담의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밀의 경우는 더욱 복잡합니다. <공리주의>에 나오지만, 밀은 인간에 대해서 생각보다 순진한 사고방식을 가진 것처럼 보입니다. 단순히 개인의 행복을 추구한다고 해서 그게 반드시 공공의 행복으로 이어지지는 않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리고 저급의 쾌락과 도덕적이고 지적인 고급의 쾌락을 구분하면서 인간은 고급의 쾌락을 추구해야 한다는 식으로 밀이 말하는데, 인간이 밀의 주장처럼 반드시 고급의 쾌락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거든요. 그래도 벤담에 비해 밀의 주장은 더욱 더 공감이 가는 것은 맞습니다.

짜라투스트라 2021-04-28 23:20   좋아요 1 | URL
결론적으로 말해서 저는 공리주의는 그 당시의 사상이고, 현대의 사상 체계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현대의 여러 가지 학문, 제도, 체계의 기반을 이루는 것은 맞지만, 공리주의 자체로 보면 지금 이 시대에 맞는 사상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공리주의는 지나간 사상이고, 현대의 복잡하고 불확실한 세계상을 제대로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는 사상처럼 보입니다. 공리주의를 이 시대에 맞게 업그레이드 한다면 모르겠지만. 저에게 공리주의는 흘러간 옛 노래이고, 고색창연한 옛 그림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옛 노래나 옛 그림에도 매력이 있기에 책을 읽으면서 그 매력을 찾으려고 노력중입니다. 여기까지가 지금 떠오르는 생각이네요. 적다보니 너무 많이 적었네요. 길게 적어서 죄송합니다.^^;; 어찌되었든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북다이제스터 2021-04-29 16:37   좋아요 1 | URL
좋은 리뷰 읽은 후 그냥 가볍고 짧게 여쭤봤는데, 긴 답글 남겨주셔서, 괜히 부담만 드린 것은 아니었는지, 후회도 되고 죄송합니다. ㅠㅠ

하여튼, 정답은 없겠지만, 말씀해 주신 답글에 상당히 공감합니다.^^

우선, 벤덤은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겪고 있는 모든 문제의 ‘원흉‘이라고 생각됩니다. 특히, 행복 등 질적인 가치를 양적으로 가치화 할 수 있다는 생각을 현대인들이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만든 사람 중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사람이라고 보입니다.
예를 들면, 돈으로 환산한 양적인 가치로 필요한 질적인 가치를 살 수 있다고 적지 않은 사람들이 믿도록 하는 것 같습니다. (돈이면 다 돼!)

말씀하신 것처럼, 밀은 벤덤보다 아주 조금 나았지만, 공리주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은 안타깝습니다. (제가 안타깝다는 표현을 쓴 이유는 그의 여성관 등 다른 사상은 마음에 드는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제가 보기에 공리주의 한계는 너무 ‘결과‘만 중시하고 ‘과정‘은 소홀히 한다는 점입니다. 목적을 위한 과정에서 약자나 소수가 희생될 개연성이 너무 많은 사상이라고 보입니다.

결국, 전반적으로 보면, 공리주의는 자본주의와 무척 잘 어울리는 사상이라고 생각되며, 그렇기에 학교에서는 다른 사상보다 공리주의를 꼭 가르치는 것 같습니다.

어찌되었든, 긴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글 넘 잘 읽었습니다.^^

짜라투스트라 2021-04-29 19:39   좋아요 1 | URL
제가 더 감사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