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경영 사상가 50인
키애런 파커 지음, 신우철 옮김 / 시그마북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경영개발유럽재단(European Foundation for Management Development)과 선탑 미디어가 2년마다 최근 경영계에 등장한 사상가 수천 명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 그들의 아이디어를 선정해 발표하는 '최고의 경영 사상가 50인'을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경제-경영분야의 학부생들 가운데 경영학과를 나오면 어디든지 갈 데가 있는데 경제학과를 나오면 갈 데가 없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이것은 경영학이 실무에 더 가깝고, 경제학이 실무보다도 학문에 가깝다는 말을 꼬집어서 말한 것이다. 그렇다고 경제학의 유용성이 없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우리 실생활에 영향을 안 미치는 곳이 없을 정도로 경영학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는 점은 누구든지 인정하고 있는 사실일 것 이라는 것이다.


20세기는 기업이라는 동력으로 움직이는 기업의 시대다. 기업은 경영이라는 행위에 의해 움직인다. 훌륭한 경영이론들은 이미 예전부터 우리 곁에 존재하고 있었던 것들이다. 어쩌면 경영이론의 기본 원리들은 아득한 옛날부터 존재해온 것인지도 모른다. 참신하고 훌륭하다는 이론이 실은 이미 있어온 개념에 색깔을 화려하게 입혀 놓은 것에 불과한 때가 적지 않다. 20세기에는 기업이 사회의 중심축을 이루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시 말해 20세기는 기업을 움직이는 방법, 즉 경영의 시대였으며 이러한 흐름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경영을 처음 접해가는 나로서는 자칫 난해하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었는데 체계적으로 요약되어 있는 책의 구성이 좋았던 것 같다.경영하면 이전에 생각나던 키워드는 ‘아이디어 게임’이었다. 남들과는 차별화된 마인드로 기업을 운영한다던지, 타 기업체와의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 그리고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수립 같은 것들을 떠올리고는 했다. 하지만 ‘경영의 교양을 읽는다.’를 읽으면서 이러한 것들이 경영의 고전으로부터 나온 열매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경영의 시대를 살고 있는 바로 이때에 ‘경영’이라는 거목의 뿌리와 그 성장과정을 되돌아본다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의미와 가치가 있다. 굳이 옛것을 익힌 뒤 비로소 새것을 배운다는 ‘최근 경영계에는 새로운 사조가 흘러넘친다. 하지만 언제든지 적용할 수 있는 변치 않는 이론과 그 이론의 주창자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