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 그 삶과 음악]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차이콥스키, 그 삶과 음악 ㅣ 우리가 사랑하는 음악가 시리즈 7
제러미 시프먼 지음, 김형수 옮김 / 포노(PHONO) / 2011년 6월
평점 :
한때 소형트럭이 후진할 때 들리는, 겨우 최소한의 음 구분만 가능했던 그 '음악' 이 아니더라도 지금껏 얼마나 많은 클래식을 접해왔을까. 사람들을 살면서 얼마나 많은 클래식을 들을까. 하지만 으레 일반인이라면 이번주에 나온 신곡과 가수의 동향, 가십거리는 꿰고 있어도, 한 세기를 훌쩍 넘기는 시간을 살아낸 음악과 음악가에 대한 관심은 너무 소홀했던 것은 아닌지.
어떤 예술이든, 판단하고 느끼는 것은 개개인의 몫이고 권한이지만, 그에 관련된 배경을 접했을 때 또, 새로이 느끼는 감흥은 분명 적지 않다. 특히나 자신이 제멋대로 이해하고 있던 것에 대해서, 그 예술가의 생애를 알고 그 시대적 배경을 알게되면 더 넓은 것이 보이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것들을 싫어하던 아니던 말이다) 이 차이콥스키의 전기를 읽기전의 느낌은 딱 그런것이 아니었을까 싶다. <백조의 호수>나 <호두까기 인형>같은 너무 유명한 곡만 알고있다가, 가끔, 어딘가에서 듣게되고, 작곡가의 이름을 들었을때야 비로소 '오-' 하게 되는 현상이 조금이나마 타파되리라 기대하며. (물론 그 이상의 낯설음과 두려움은 말할 것도 없었겠지만, 생략하겠다)
대중적이고, 위대한 음악가의 생애를 토막식으로 아는 것은 어렵지 않다. 어느 음악가는 '신이 불러주는 대로 썼다'라고 하거나, 장애를 가진 아이가 바로 누구 였다던가 하는. 한 음악가에 대해서 깊게 알기란 분명 음악에 대한 깊은 애착이 필요한데, 지금껏 그런 것은 어디있었던 것일까.
어쨌든, 이 책은 차이콥스키의 탄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꽤 일목요연하게 다루고 있다. 부유하게 자란 가정환경에서 부터, 그런 가정의 위기, 법학을 공부하게 됨으로써 어머니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극도의 공포가 있던 유년기부터, 그가 동성애적 성향을 갖게 되고, 법무부에서의 일을 그만두고, 다소 늦은나이에 본격적인 음악을 시작하고,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받으며 많은 곡들을 써내고, 때로는 찬사에 대한 기쁨을, 때로는 비판에 대한 좌절을 느끼기도 했던 그의 생에 말이다.
무엇보다 그는, (그의) 음악이 필요로했던 절대적인 감성의 변화를 갖고 있지는 않았나 생각된다. 유년기부터 극도로 예민하고, 감정의 기복이 심했던 그의 기질은, 나이가 듦에 따라 조금 나아지는 듯 싶기도 했지만 본질적으로는 변화하진 않았다. 그럼에도, 그의 천성에서 나오는 친절함과 상냥함은 또 그가 사람들을 끌어당기기도 하는 하나의 본능이었다. 하지만 그 자신도 때로는 다른 음악가나 그 당시 관심을 갖던 악기의 분야에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기도 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렇다고 그 자신이 자만심에 똘똘뭉친 것은 아니었다. 다만 그는, 여느 비평가나, 하나의 관객처럼 평가했을 뿐이다. 이 책에서 차이콥스키의 생애를 복원하는데에 그의 편지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것들을 통해 (그 자신도 썼듯이 편지가 완벽히 진실될수는 없을지라도,) 그가 충분히 자신에 대해서 겸손하고 반성적인 자세를 취했었다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의 전기에서 특히 두드리지게 느껴지는 점은, 주변인들의 영향이 적지 않았단 것이다. 사실 내가 깊게 기억하는 부분은, 그의 감정이 늘 그랬던 것은 아니지만, 일반사람들에 비해선 매우 불안정하게 기복이 심했고, 거기에는 (매번은 아니지만) 그 주변인들의 영향이 컸다는 점이다. 여러 우정들을 통해서 그가 일어서기도 했고 좌절하기도 했지만, 특히 흥미로웠던 점은, 아내 안토니나 와의 불화와 폰 메크 부인과의 후원관계이다. 그 조차도 원치않게 시작했던 결혼생활은 결국 서로가 끔찍한 정신적 고통을 받았고, 폰 메크 부인과는 우정과 사랑의 미묘한 줄다기를 하며 끝끝내 편지로만 왕래하며(실제로 두번인가 마주쳤음에도 말을 나눴다고 하지 않는다) 후원을 받기도 하다가, 불현듯 끊어지게 되는 점 이었다. 실제적으로 그의 아내가 그에게 도대체 어떻게 했는지는 이해할만큼 언급되진 않아서 다 알순 없지만, 그때의 차이콥스키의 아내가 주는 정신적 고통과 폰 메크 부인과의 정신적 교감(전적인 사랑이라고 보긴 힘들었다.)은 매우 상반되고 지점임은 확실하다.
그의 인생이 굉장히 파란만장했다고 까지는 못하겠지만, 그의 감정이 매우 파란만장 했던것만은 확실하다. 그럼에도 (혹은 그래서인지) 그는 음악을 포기하지 않았고, 좌절하지도 않았다. 자신에 대해서 겸손했지만, 또 타인에 대해서는 냉정한 평가를 했다. (사교와는 별개의 문제) 그에게 벌어진 여러 관계와 사건들은 차곡차곡 그의 음악을 만들었을 것이고, 그가 감명받은 문학작품과 자연에서도 많은 것을 얻어왔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변덕스럽지만) 풍부한 감성이 만든 음악은 오래도록 우리에게 남아있고, 또 남아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그가 남긴 위대하고 황홀한 음악이 아니라 그 이면에 존재했던, 감정이 (지나치게) 풍부했지만, 열정적이었던 그의 생애를 들여다보는 일은 매우 인상적이었고 유익한 일 이었다. 완성된 음악만을 듣게되기 일쑤인 일상에서, 세기를 넘어 들려지는 음악에, 음악가에 관한 이야기는 (역설적이게도) 위대한 음악가 이상의, 한 인간이 희노애락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종국엔 다시 음악가로서의 그를 떠올렸다. 곁에 있었음에도, 조금은 어려웠던 그의 음악을 조금 더 가깝게 느끼면서...
"그가 늘 성공했던 것은 아니다. 실패했을 때도 작품에 대한 열정이 부족했던 적은 없다. 그는 자신이 쓴 최고의 음악을 통해서 계속 살아있을 것이다." (219)
물론 이 책 한권으로 차이콥스키의 생애에 대해 완벽히 알았다고 할 순 없을것이다. 이 책은 전기로 치자면 매우 얇고, 그의 작품들을 모두 설명하기에도 짧은 분량이니깐. 하지만 책에 언급되는 주요 음악들에 대해서 시디를 포함, 웹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게 했고, 일대기 와는 별개의 페이지를 파트마다 배치해서 그의 생애와 음악을 따로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주고, 여타의 음악용어나 시대적 배경의 설명들은, 그의 삶과 작품, 그리고 시대와 음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에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