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능력자
박이정 지음, 김민석 각본 / 피카디리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갑’과 ‘을’의 착취적 관계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물론 이런 관계가 기본적인 사회의 근간인 것이 현실. 이 ‘갑’과 ‘을’은 ‘을’들이 자신들의 신세를 한탄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극 최근에 한 우유 대리점의 폭로로 사회 전체로 촉발된 것은 대다수가 알고있을 것. 나는 극소수의 ‘갑’과 대다수의 ‘을’이 존재하는 세상, 마치 초능력 같은 ‘갑’의 힘에 대응할만한 힘을 가진 ‘을’ 을 만들어 한판 붙여보려는 욕망이 투영된 것이 바로 이 <초능력자> 라고 보았다.

 

쓸모없는 것들이 처분되는 폐차장, 세상의 끝바닥으로 상징되는 곳에서 일하는 규남, 애초에 ‘평범’과 ‘보편’에도 끼지 못하는, 경계 바깥의 사람을 보여주려는 듯 주변인들도 모두 외국인 노동자 들이다. 누구라도 ‘최후의 만찬’을 떠올릴만한 폐차장에서의 점심먹는 장면에서도 규남은 가장 낮은 책상에서 밥을 먹고 있다. 특수할 만큼은 아니되, 보편적 통념에서 가장 바닥같은 인생을 살고있는 인물인 규남은, 설상가상으로 사고를 당하지만, 오히려 새로운 곳에 취직하여 새로운 ‘가족’들을 만난다.

 

하지만 초능력 때문에 혼자 살아가던 초인이 등장해서 규남의 가상 가족에서의 ‘아버지’를 빼앗고, 그의 주변을 위협한다. 흔하지만 매우 상징적인 ‘돈’과 ‘자유’를 빼았는 ‘갑’ 같은 초능력을 가진 초인에게, 있는건 의욕밖에 없는 모든 ‘을’ 가족들의 가장이 되어버린 규남이 자신의 가족과 주변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초능력자>의 가장 큰 갈등이 아니닐까

 

무엇보다 초인의 초능력이 ‘갑’ 과 ‘을’ 크게 상징한다. 초인은 규남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을 자기 마음대로 부릴 수 있다. 좀비처럼 움직이는 사람들과 초인의 관계는 중간에 돈이나 어떤 조건들이 생략되어 있을 뿐이다. 규남과 다르게 초인에게는 트라우마가 된 슬픈 과거와 무서운 능력이 있고, 그는 그것을 이용해 편하게 살아왔다. 우월한 사람들에게 농담처럼 ‘전생에 나라를 구했다’ 라고 말하듯, 차상위계층같은 초인의 과거는 설명해줘야만 했던 것이다. 하지만 그에 비해 ‘을’의 상징인 규남의 과거는 전무하다. 아마도 그는 수많은 ‘을’들 처럼, 그냥 살다보니 여기까지 온 것이기 때문아닐까. 각자의 ‘을’에도 나름의 사정들이 존재하겠지만, 결국 우리는 비슷한 ‘을’ 들을 보며, 사는게 다 그런거지 하고 이야기 하듯 규남의 과거는 너무 보편적이라 설명되지 않은 듯 보인다.

 

규남이 전당포에서 일한 기간을 나타낼 때 음식점에 전화할때의 단축번호, 전화태도, 사장의 대사를 자기 인생관처럼 흉내내는 것처럼 은근히 보여준다거나, 특별한 이유없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사람들을 구하려고 한다거나 하는 등 ‘을’에 대한 설명은 압축 혹은 생략되고 있다. 그러니깐 ‘을’인 규남이 가상의 가족과 사람을 구하려고 하는 것은, 마치 ‘보편적 인간으로서의 감정과 생각’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들은 캐릭터와 주인공의 혼선을 가져오기도 한다. 특히 규남의 행동은 초인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이해되기에도 무리수가 생길때가 있었다. 오히려 규남이 없었다면 조용히 넘어갔을 일들을 보면 더욱 그렇다. 밀어내기 폭로로 어딘가에는 불어닥칠 찬바람이나 (가령 납품거부로 인한 타 대리점의 도산이나, 기업 자체의 구조조정 등), 서민들 삶을 위해 열린 집회가 그 주변 상권이나 작은 경제요소들을 위협한다고 주장하던 모양세 처럼 말이다.

 

또한, 이 <초능력자>에서는 매스컴이라는 존재와 공권력의 존재가 거의 전무하게 그려진다. 마치, 누군가 죽거나 폭로하지 않으면 평소에 관심기울이지 않는 언론의 현실같다는 (자의적) 해석도 가능은 하겠지만, 결국 개인간의 대립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영화적 생략으로 보여졌다. 하지만 매스컴의 배제로 결국은, 사회적 코드를 직접적으로 읽을 요소들이 거의 전무해버려서, 영화가 대충보면 마치 초능력자들의 개인적 대립들로만 이뤄져 있듯 보이는 것 같다. 그래서 ‘임대리’를 계속 외치게 되는 것 아닌가 하고 생각될 지경이다.

 

어쨌든, 한쪽 다리가 없는 초인과, 사고 때문에 잠깐 비슷한 신세였던 규남은 그들의 대사처럼 정말 친구가 될 수 있었을까. 서로 비슷한 핸디캡, 혹은 트라우마를 가진 ‘갑’과 ‘을’의 세상에서, 일그러진 ‘갑’으로 태어난 이가 결국 ‘을’ 을 조종하는 세상이 아니라, 서로가 동시에 ‘갑’이 되어 위로하는 ‘유토피아’는 가능할까. 실상은 서로 상처를 감싸는게 아니라, 결국 각자의 고난을 갖고 살아가면서도, ‘초’능력자들은 자신의 힘으로 상처를 묻어버리며, 위에 서버리는 전통적 갑을 관계의 계승이다. 하지만 감독은 그렇게 갑을의 근원적, 인간적 공통점을 강조하면서도 결국 드라마의 완성을 위해 화해를 보여주거나, 현실을 그대로 그리지 않고, 특별한 ‘을’에게 손을 들어준다. ‘을’의 승리는, ‘갑’ 과 ‘을’의 화해보다 더 먼, 영화 같은 이야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어쩌면 이 영화는, 수많은 '을' 들의 고된 삶이야 말로 초능력과 같은 능력으로 오늘을 버티고 있는 것이라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