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 보면 옛 생각난다] 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옛 그림 보면 옛 생각 난다 - 하루 한 장만 보아도, 하루 한 장만 읽어도, 온종일 행복한 그림 이야기
손철주 지음 / 현암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전에 사실 약간의 선입견이 있었음을 먼저 이야기 해야할 것 같다. 옛 것 이라는 말에서 풍기는 어떤 고리타분한 느낌이랄까. 서양미술사의 웅장함과 화려함이 언제부턴가 그림을 판단하는 척도로 인식 밑바탕에 깔려있었기 때문이리라 생각된다. 누런 종이에 그려진, 색의 화려함보다는 농담의 깊이와 여백, 우리가 많은 사극들과 역사 유적지에서 봤을 전혀 화려하지 않은 우리 조상들의 일상사, 그리고 풍경들. 하지만 그 그림들 한장 한장 속에는, 어떤 이야기보다도 많은 이야기가 들어있었다. 간결한 그림속에는, 우리가 관심갖고 들여다보고, 알수록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던 것이다. 그래서 혹시 나처럼 서양미술사의 화려한 모습에 더 시선을 주는 이들이 있다면, 이제 이렇게 이야기 하고 싶다. 그것이 옛 것 이라는 표현보다 더 고리타분하고 막힌 생각이라는 것을. 

 이 책은 봄,여름,가을,겨울로 나눠진 우리조상들의 옛그림들이 실려있다. 어떤 것은 많이 보기도 한 비슷한 풍경이되, 어떤것은 생소한 그림도 있다. 풍경을 고즈넉하게 그린 그림들이 있는가 하면, 일상의 한 부분을 절묘하게 담아낸 그림도 있고, 동물들의 모습도, 사색의 모습이 담겨진 그림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그림이 우리에게 한발 더 다가올 수 있는 것은 저자가 그림을 바라보며 이야기해주는 따뜻하고, 때로는 따끔한 시선이다. 이리 여러편의 그림 관련 저서를 내기도 했던 저자 손철주의 글맛이 없었다면 독자가 이 그림들을 이렇게 볼 수 있었을까 하는 정도로 말이다. 한편의 그림의 주제가 되는 사물들의 한자에서 그림의 의도를 읽기도 하는 것이 놀랍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와닿는 것은 한편의 그림에서 길어올리는 옛 사람들의 사고와 풍습이 아닌가 싶다. 저자는 한편의 그림에서 놀랍도록 많은 옛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다. 그 이야기또한 어떠한가, 마치 구수한 옛 이야기처럼 이제는 잊혀져간 아름다운 많은 표현들에서 마치 그 시대의 느낌을 오롯이 전하려고 노력했던 저자의 노력과 애정이 느껴진다. 책이 만약 조금 바랜 종이였다면, 진정 옛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었을 것이다. 

그림과 글, 어느것이 좋은가 우열을 가릴 수 없었다. 저자의 글은 그림을 밝혀주고, 그림은 글을 밝혀준다. 서로 혼연일체되어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읽는 내내 그리 좋을 수 없었다. 혹여, 옛 생각이란 제목에서, 옛 것만을 찾을 것이란 생각또한 무지하디 무지한 우려였다. 조상들의 옛 생각에서 지금 우리가 어떤 시대를 살고있는지를 잠시 망각하게 해준다. 시대와 모습이 변해도 자연을 벗삼아, 외로움을 달래보고, 출세에 집착하는 모습은 여전했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무척이나 행복함을 느끼게끔 해주는 책이다. 책을 읽는 시간은, 저자가 바라보는 옛 시대의 지식과 혜안, 그리고 현재의 삶을 바라보는 행복하고 따스한, (때로는 따끔한) 질책들이 가슴에 물들었던 시간들 이었다. 언제 어디서든 사람사는 모습, 생각은 크게 다를 바 없었으니깐. 아니 오히려, 옛 것에서 우리가 지녀야 할 삶의 자세를 다시 고쳐 생각하게끔 해주니 이보다 더 좋을 수 있으랴. 달빛 아래서 시를 읇고 싶게끔 해주는 책이다. 정말 하루에 한장씩 담아, 두고두고 생각하고 싶게끔 해주는 책이다. 누가 고르든 후회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