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쉬러 나가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숨 쉬러 나가다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조지 오웰의 글은 사람을 매료시키는 힘이 있다. 서사가 복잡해 이해하기 힘들다거나 정신적인 미숙으로 글은 이해하되, 정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거나 그런 점이 없다. 그렇다고 단순하거나 쉽지 않은 힘이 실린 글이다. 개인적으로 조지오웰에 알게 된 건 [1984]라는 작품이 유명해서 제목밖에 모르던 시절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그 전까지는 아직 조지 오웰의 글을 한 번도 읽어본 적이 없었다. [1984]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온 건 그 숫자에 얽힌 많은 일화가 있었기 때문이었고, 그럼에도 [1984]보다는 [동물농장]을 먼저 접하게 되었었다.

 [동물농장]이라는 제목에서 왠지 동화나 우화를 예상했던 나는 오디어북에서 이 내용을 처음으로 접하고 내용 속에 담긴 의미가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는 이 책을 쓴 작가에 대해 차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는 조지 오웰의 가장 유명한 책들부터 구해서 읽었다. 그의 글을 읽으면 읽을 수록 '조지 오웰'이라는 작가를 좋아하게 되었고 그가 작가로써만이 아닌 국가적, 정치적, 사회적 활동에서도 결코 외부인이 아니었다는 점이 인상 깊었다.

 아직 조지 오웰의 글을 많이 설렵해보지 않아 그의 몇 작품에 대한 인상이 깊이 남아 있지만, 이번에 읽은 [숨쉬러 나가다]는 그의 실제 생활에서 느낀 느낌들과 경험들이 많이 담겨 있는 것 같아 새로웠다. [1984]와 [동물농장]과는 또 달리 매력을 지니고 있고 많은 것들이 상징화와 우화비판적인 그것과는 또 다른 느낌으로 전쟁과 현대의 불안을 그려낸다.

 곳곳에 자신이 평균적인 인물임을 강조한 주인공을 중심으로 기복이 심하지 않는 일들이 잔잔히 진행되고 그런 평범한 인물의 개인적인 일들에 전쟁과 급격히 변화하는 현대사회가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 지를 그려낸다.

 유복하지 못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내는 늘 금전적으로 걱정스러워한다. 그런 아내를 이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자신은 그나마 금전적으로 평범한 집안에서 태어났었기 때문에 아내의 억척스런 모습들이 눈에 거슬린다. 이렇듯 자신과는 어울리지 않는 아내이지만 15년을 함께 산 세월은 그에게 없으면 안될 만큼이나 중요한 존재로 자리잡게 된다. 그 '중요한 존재'라는 것이 사랑해서가 아니라 오래 살았기 때문에 생긴 '익숙함'이라는 게 서글픈 현실이다.

 환경에 순응하고 마땅히 뭔가에 대한 의지가 없는 주인공은 일상 생활에서 겪게 되는 에피소드들을 통한 경험에서 그 시대의 직장에서 겪게 되는 애로 사항에 대한 느낌들을 서술한다. 상사와의 마찰로 인해 민망해진 상황에서 그 모습을 보게 된 아무 연관 없는 사람의 입장에서 느끼는 감정은 당사자들보다 더 곤란하다. 그런 민망한 장면을 들키게 된 사원은 자신을 크게 꾸짖는 상사보다 그저 스쳐 지나가는 주인공에게 더 분한 감정을 느낀다. 자신의 수치를 제 3자에게 보였기 때문이다.

 이렇듯 이런 불쾌한 경험을 하게 된다하더라도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모욕을 참아가면서 일을 하는 직장인은 수없이 많다. 현대를 살아가는 오늘날도 마찬가지고 더 각박해져가는 세상 속에서  더더욱 정신력을 갉아먹는 상사의 모욕은 계속될 것이다. 먹고 살기 힘든 세상은 어쩔 수 없이 일하는 사람을 더욱더 정신적으로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간접적이긴 하지만 이 에피소드는 현대로 들어서면서 크게 바뀌는 세상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대량 생산은 사람들을 더욱 바쁘게 만들고 예전에 수공업자들은 자신의 평생 터전과 밥벌이를 잃게 된다. 많은 직장들이 없어지고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었던 일들이 없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일도 없어지게 된 것이다. 그랬기 때문에 사람들은 어떤 직장이라도 군소리 없이 입을 닫고 일할 수 밖에 없는 상황 속에서 정신적으로 스트레스가 많아진다.

 게다가 국가는 잘 사는 소수보다는 이렇게 각박한 스트레스로 똘똘 뭉친 가장 하층민들에게 애국심을 강요하고 전쟁통으로 몬다. 이는 아무 힘이 없는 한 개인이 정세에 몰려 이리저리 휘둘리며 개중에는 그것에 큰 가치를 두는 이가 결국 얻게 되는 배신과 고통에 대한 비극을 의미하기도 한다.

 모든 사람과 어울리기 쉬운 뚱뚱한 주인공을 내세운 점은 주인공의 대인관계를 통해 상대방의 생활을 들여보기 수월하도록 만든다.

 조지 오웰이 이 책을 쓸 때 요양차 잠시 '숨쉬러 나간 것'처럼 주인공 또한 일주일간 '숨쉴 곳'을 찾아 행복했던 추억이 서려져 있던 고향을 찾지만, 그 곳에서 그는 찾고자 했던 안식을 찾을 수 없다.


 결국 주인공이 현대화되면서 모든 것이 변화된 고향에서 '숨쉴 곳'을 찾지 못했듯이 조지 오웰 또한 현실에서 어떤 곳에서도 현대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이 없다고 생각했던 게 아닐까.

 옮긴이가 주석을 너무 많이 달아서 걱정했건만, 나는 이렇게 틈틈이 달린 주석들을 통해 작품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다. 어차피 미심쩍었다면, 여기저기를 뒤져봐야 하는데 이런 수고를 덜어주었기 때문이다. 주옥 같은 문장들도 조지 오웰의 글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요소이다.

 "그는 죽었다. 유령이다. 그런 사람들은 모두 죽은 것이다. 우리 주변에 걸어다니는 사람들 중 상당수가 실은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생각도 들었다. 인간이 정말 죽는 것은 두뇌 활동이 멈추는 때인지도 모른다. 새로운 관념을 받아들일 힘을 잃어버릴 때 말이다.그런 사람들이 언제까지나 같은 말, 같은 생각만 되풀이할 뿐이다. 그런 사람이 참 많기도 하다. 정신적으로, 내면적으로 죽은 사람들 말이다." -229p

 이 말은 이 책의 주제를 가장 잘 표현하는 본문 내용이다.

    

 웰스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았던 조지 오웰. 나 또한 웰스의 작품을 좋아해서 오웰과의 공통 분모를 찾은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