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어차피 불편한 것이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삶은 어차피 불편한 것이다 - 티베트에서 만난 가르침
현진 지음 / 클리어마인드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모든 종교에는 배울 점이 있다. 아이러니한 점은 인간은 종교에서 썩 잘 배우지 못하다는 것이 아닐까싶다. 종교 자체 때문에 피비린내 나는 전쟁을 일으킨 것은 인간이지 종교 자체가 바라는 목표는 아니었다고 본다. 한국인들도 불교인이 많으니 이 책에서 만나는 티베트의 불교는 낯설지 않았다.

 무종교라 할지라도 절에 가서 절도 해보았고, 절밥도 먹어보았으니. 그렇다고 교회나 성당에 안 가본 것도 아니고.

 아는 사람이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다. 기독교 같은 타종교는 교인이 부자가 많은 반면, 불교인은 부자인 사람이 없다고. 그러고 보니, 불교인들은 모두 욕심을 버리라는 종교의 가르침 때문에 돈에 대한 애착을 가지기가 힘들런지도 모르겠다. 세상사를 살아가기엔 다소 불편한 종교가 불교라는 생각이 든다. 그 가르침 대로 나 혼자만 실천하자면 아무래도 절에 들어가서 수양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지 않을까.

 그래도 왠지 수양되어 있고 깊이 있어 보이는 진정한 불교인들이 더 친근하고 자기 안의 부처를 깨달아라는 가르침이 더 가치있어 보이고 좋다. 책속에는 여러가지 티베트 불교에 대한 상식과 뜻하는 바가 멋진 사진과 함께 잘 정리되어 있다. 의미에서 건네는 가르침이 까불랑꺼리고 산만한 내  정신을 한동안  숙연해지게 만든다.   


 

 

 어느 회교사원의 벽에 이런 시 구절을 적어 놓았다고 한다.
 "운명에는 이틀이 있다. 하루는 당신의 편, 다른 하루는 당신에게 등을 돌리리라. 그러므로 운명이 자신의 편일 때 자만하거나 무모하지 말며, 운명이 등을 돌릴 때 참고 기다리라." 181p

 이 말이 전하는 의미를 깨달을 때가 종종 있으나 뒤돌아서면 잊어버리고 그때그때 다시금 깨닫게 되는 말이다. 운명이 등을 돌릴 때 참지 못하는 인내심. 나는 가끔 이런 한계에 도달하곤 한다.

 
 무지에 대한 잘못을 탓하는 것도 불교의 가르침이다.
 "여기, 뜨거운 돌이 있다고 하자. 뜨겁다는 사실을 알고 잡은 자가 화상을 많이 입겠는가, 모르고 무턱대고 잡는 자가 화상을 많이 입겠는가?"  174p

  내가 미처 깨닫지 못하고 잘못을 저지르고, 실수를 하는 일들이 없었는지 지난 날을 돌아보고 반성하게 하는 이 종교는 확실히 종교 자체의 가르침은 숭고한 정신을 지닌 듯하다.

 근데 왜 중국인들은 티베트 종교인들을 그렇게 억압하고 식민지화하려 하는 걸까. 그들도 종파가 다를 뿐 많은 이들이 불교의 한 갈래를 믿고 있지 아니한가. 탐욕을 버리라는 불교의 가르침과는 달리 그들은 종교인이라고 말하면서도 가르침이 주는 의미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티베트인들이 겪는 고통에 대해 안타까운 와중에 중국인들이 원하는 이득을 모르는 바 아니지만 그래도 여전히 그들의 행동은 이해할 수가 없다.

 불교가 말하는 전생의 업이나 착한 사람은 복 받고 못된 사람은 화를 당한다는 그 말이 가끔 세상의 단면들을 관찰하면서 회의가 들긴 하지만, 그런 근본적 토대가 없더라면 세상은 더 험악한 세상이 될테므로, 그러고자 행동하고 뜻을 전하는 게 여전히 지금의 세상이나마 유지하는 근간이라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