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니먼로의 죽음>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버니 먼로의 죽음
닉 케이브 지음, 임정재 옮김 / 시아출판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손가락 까딱할 힘만 있어도 그 짓은 한다'는 부정적인 말이 통하는 궁색하고 무책임하며 호색한 '버니' 가정이라는 울타리에서 결코 뿌리 내리지 못하는 남자의 비참한 삶이란, 고통을 스스로 만들어낸들 결코 벗어날 수 없다는 걸 깨닫게 해준다.
화장품 방문 판매원이 들리는 집마다 여자들에게 찝쩍거리며 끈적하게 군다. 결국 자신의 욕망을 분출하고 나면 얻게 되는 것은 채워지지 않는 또다른 욕망이다. 그런 그가 그에게 어울리지 않는 결혼을 하고 역시 어울리지 않는 것만큼이나 아내를 불행하게 만든다. 그의 아내는 그가 어떤 인간이라는 걸 알았을 때 그라는 인간에 대한 애정을 버리고 헤어졌어야 했다. 그렇게 했더라면 그녀는 싱글맘일지라도 또다른 삶을 살아볼 기회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말로 차마 다 하지 못할 진상 '버니'가 다른 사람도 아니고 자신의 친구에게 추잡한 짓을 한 것을 알아챈 뒤 그에 대해 가지고 있던 애정과 배신감의 충격으로 헤어나오지 못하고 우울증에 빠진다. 아다시피 우울증이란 무서운 감정이다. 사람마다 다른 형태로 당사자를 질식시키는 것이 이 우울증이다. 이것을 병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내 생각엔 이건 감정이다. 벗어나기 힘겨운 어두운 감정이 보이지 않는 몸 전체를 까맣게 둘러싸고 있는 것 말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진상인 '버니'는 그런 아내를 가끔씩 있는지조차 잊어버리기까지 하면서 다른 여자들을 꼬셔 자신의 끊이지 않는 욕망을 채운다. 아내가 감정 때문에 신체적으로도 병들어가고 있을 때 그는 한창 신날때다. 아니 그도 그것이 신나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그런 생활이 아닌 것보다는 낫다고 단순하게 생각한다. 분명 그도 일이 잘못 되어 가고 있는 것을 알고 자신이 길을 잃었다는 것도 느낀다.
그러나 달리 무얼 할지 모르는 '버니'. 가장의 책임도 가정의 평화와 화목함도 전혀 알지도 알려고도 하지 않는 그의 아들로 태어난 아이는 세상의 어두운 부분과 끔찍하고 더럽고 치사스러운 것을 먼저 보게 된다. 엄마의 자살을 눈앞에서 목격하고 아이를 떠맡은 '버니'의 짐짝처럼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옮겨다니며 그의 해괴망측한 '짓거리'들을 관찰하는 아이의 눈은 밝을수가 없다.
버니의 죽음은 어쩌면 자신이 죽음의 길을 스스로 걸었다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아이에겐 그의 죽음이 그다지 피해가 될 것도 없다. 무가치한 인간의 죽음. 하지만 그럼에도 따지고 보면 그는 자신이 똑같이 닮은 부친의 재현이다. 부친이 아들에게 행한 불행은 버니에게서 마감되었다. 버니와 아이는 어른과 아이라는 상대적인 개념이 없다. 오히려 아이가 더 어른스러운 것을 느낄 수 있다.
어른이라고 해서 완벽하진 않다. 길 잃은 인간 '버니'는 낯설지 않다. 사실 버니같은 인간들이 꽤 된다. 또는 아내와 아이를 버리거나. 그러나 진상이고 몹쓸 인간 '버니'조차도 부분적으로는 불쌍하고 또 불쌍한 인간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는 부분이 종종 있다. 삶, 책임감이라는 무게를 지려고도 하지 않고 일상에서 벗어났으면서 욕망을 분출하는 인간. 진화상으로만 본다면 무가치한 존재이자 덜 진화된 것이라고까지 생각된다.
그래서 그의 죽음이 오히려 다행스럽다는 안도가 든다. 밥도 제대로 못 먹어 배를 곪고 옷도 갈아입지 못하는 좁은 승용차라는 불안정하고 불위생적인 환경과 백과사전 하나를 읽으며 지식의 즐거움을 알지만 학교도 가지 못하는 버니의 아들에겐 아비와 같은 생을 되풀이하는 것이 아닌 새로운 삶이라는 무한한 길이 열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비록 아이의 삶이 앞으로 어떻게 풀릴 지 모르더라도 '버니'를 따라다니며 못 볼 꼴 다 보는 것보다는 아동보호소가 안정스럽지 않을까.
작가는 아마도 독자가 이런 감정이 저절로 들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소설을 썼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일종의 반어적 형태 말이다. 최악의 상태를 노출시킴으로써 옳은 길을 보여준다. 뭐 이런 것이 아니었지싶다. 어둠이 있기에 빛을 정의할 수 있듯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