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정, 선비문화의 산실 조선의 사대부 9
우응순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정(樓亭)은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의미한다. 누각보다 간소한 형태가 정자이다. 저자는 현재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누정의 존재와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곳에서 생산된 시조, 가사, 한시 등의 누정 문학을 다시 거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누정은 사대부 남성들의 공간이었다. 물론 여행중인 평민, 여성들도 이용했을 것이다.

 

()는 어원적으로 중첩하여 지은 집으로 당()과 만드는 방식이 비슷하지만 당에 비해 높이가 높다는 특징을 지녔다. ()은 머무른다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멀리 여행하는 사람이 잠시 멈추어 쉬는 곳이다. 정사(亭榭)의 사는 높은 언덕 또는 대() 위에 건립한 집을 말한다.

 

누각이 왕족이나 사대부층의 유흥 및 사회를 위한 격식을 갖춘 공간이었다면 정자는 평민과 여행자들의 휴식과 만남의 장소였다. 누정은 대부분 배산임수(背山臨水)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누정의 위치는 물과 불가분의 관계가 있어 어떤 누정이든 그 주변에 못<: )>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남원 광한루(廣寒樓)와 함흥 칠보정(七寶亭)은 못 위에 세운 누정이다.

 

누정은 정자라는 점에서 충남 이남에 분포한 모정(茅亭)과 비슷하지만 모정은 주로 농경지를 배경으로 한 소박한 정자이다.(32 페이지) 편액(扁額)은 흔히 현판(懸板)이라고도 하는데 대개 가로로 걸기 때문에 횡액(橫額)이라고도 하며 글씨를 세로로 쓰기도 한다.(: 띠 모, : 이마 액)

 

정자는 때로 다른 이름의 편액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정철이 담양이 세웠다는 송강정은 죽록정(竹綠亭)이라는 편액이 같이 걸려 있다. 이는 송강정 아래 죽록평야를 끼고 흐르는 송강을 죽록천이라고도 부른 데서 생긴 이칭이다. 양양의 하조대(河趙臺)는 이곳을 찾은 하륜과 조준의 성에서 따온 이름이다.

 

달성의 삼가헌(三可軒)을 비롯, 괴산의 애한정(愛閑亭)과 피세정(避世亭), 담양의 면앙정(俛仰亭), 송강정(松江亭) 등은 각각 박성수(朴聖洙), 박지겸(朴智謙), 조신(曺紳), 송순(宋純), 정철(鄭澈) 등의 호를 누정의 이름으로 삼은 것이다.

 

누정에 얽힌 고사는 주로 중국의 이야기이지만 우리나라의 이야기에서 가져온 명칭도 있다. 조선조 효종은 북벌계획이 무산되자 그것을 한탄하여 해는 저무는데 갈 길은 멀다는 뜻의 일모도원(日暮途遠)이라 했는데 송시열이 이 이야기에서 괴산 모원루의 이름을 지었다. 서울 종로 세검정(洗劍亭)은 인조반정 때 김류(金瑬), 이귀(李貴) 등이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칼을 씻어 칼집에 넣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이름이다.(44 페이지  

 

누정은 유흥상경(遊興賞景)의 기능을 가졌다. 누정은 시단(詩壇)의 모임 장소가 되었다. 유흥상경의 흥취가 시적으로 표현되면 그것이 곧 누정시가 되었으니 누정시단이 형성되었다. 누정에서는 학문을 연마하고 토론하며 인륜의 도를 가르치고 계승했다. 벼슬을 그만두고 은퇴한 사대부들은 고향에 누정을 짓곤 했다. 누정에서는 씨족끼리의 종회나 마을사람들의 동회 또는 각종 계 모임을 가졌다.

 

누정은 활쏘기 수련장 구실을 하는 등 체력 연마의 장소로 활용되었다. 누정은 한 고을의 문루(門樓)로 방어 기능이 있었다.(문루는 궁문, 성문, 지방 관아 따위의 바깥문 위에 지은 다락집이다.) 누정은 이 밖에 별장, 전쟁 때의 지휘 본부, 재실(齋室), 치농(治農) 및 측후(測候) 시설로도 활용되었다.

 

누정에서 창작된 한시를 누정제영(樓亭題詠)이라 한다. 누정이 시문의 산실이 된 까닭은 누정이 풍광이 좋은 경승지에 건립된 데다가 누정 건립에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들이 대부분 시문을 즐기던 식자층으로 그들이 교유한 사람들 대부분 학자이며 시인이었기 때문이다.

 

조선 중기 고명한 학자이며 이름난 시인이었던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는 무등산 밑 소쇄원(瀟灑園)의 주인 양산보와 사돈지간으로 깊은 교유의 정을 나누었다. 식영정(息影亭)의 주인이었던 임억령(林億齡)도 식영정을 중심으로 20곳의 경치 좋은 구역을 선택하여 이름을 붙이고 식영정 20영의 누정시를 남겼다.

 

누정에는 어제시(御製詩)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 누정문학에는 한시로 된 누정시문 이외에 시조와 가사 등 국문시가가 다수 남아 있다. 누정제영은 고도의 창작 역량이 없으면 짓기 어려웠다. 전통적인 유가(儒家)의 입자에서는 시는 여기(餘技)이므로 깊이 빠져서 할 일이 아니라 틈틈이 취미로 하는 재주나 소일거리에 불과하다. 따라서 시 창작에 몰두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으로 자기 수양에 저해된다는 완물상지(玩物喪志)의 혐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서경(書經)을 출처로 하는 완물상지는 완인은 덕을 잃고, 완물(玩物)은 지를 잃는다는 말에서 나왔다. 사람을 함부로 대하면 덕을 잃고 사물에 빠지면 심지(心志)를 잃는다는 경계의 의미이다. 하지만 16세기 호남의 문인들은 심미적 욕구의 자연스러운 표출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다. 지나치게 과도하지 않다면 작시에 대한 애착과 관심은 물론 경물에 심미적으로 몰입하는 모습도 어느 정도 허용되었다.(68, 69 페이지)

 

누정은 작가의 현실공간과 이상 공간 사이의 경계 역할을 했다는 특징이 있다. 인위로 조성된 공간이지만 의미적 지향은 세속을 벗어난 탈속적 성격이 강한 것이다. 누정은 세속과 탈속, 현실과 이상이 서로 뒤섞이고 길항(拮抗)하는 점이지대의 공간이다.(71 페이지) 누정은 연대(聯隊)의 공간이기도 하다.

 

지식인들은 각박한 정치현실을 피해 산수가 아름다운 자연을 찾았다. 거기서 정신적 위안을 찾고 위대한 자연의 이치를 배우는 삶의 방식을 추구했다.(83 페이지) 누정제영을 의례적이고 상투적으로 즉흥 창작하는 관행이 지양되고 높은 수준의 작품성을 추구하는 분위기가 마련되었다. 누정문학에 대한 인식이 여기(餘技)가 아니라 문학적 진지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으며 적어도 그러한 분위기 내지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완강한 주자학적 문학관의 틀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문인 학자들이 등장했고 그들이 산수미에 심미적으로 몰입하고 자유분방한 호기를 발휘하는 새로운 시풍을 시도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87 페이지)

 

3지역별 주요 누정과 누정문학 관련 자료편에서는 서울, 영남, 호남, 강원 지역의 대표 누정들을 만날 수 있다. 경회루, 압구정, 세검정, 보신각, 팔각정(이상 서울),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이상 영남), 담양 면앙정, 남원 광한루(이상 호남), 삼척 죽서루, 강릉 경포대(이상 강원) 등이다.

 

저자는 조선의 누각과 정자가 지녔던 다양한 기능이 근대화 과정에서 휴식의 공간으로 산정되어 인식되고 지금은 관광의 일정에서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이 아쉽다고 말한다.(150 페이지)

 

누각과 정자에 참 많은 인물, 사연, 의미, 배경이 얽혀 있음을 알게 된 것이 소득이다. 조선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이기에 한문을 많이 아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된 것도 그렇다. 시사(詩社)라는 말을 음미하게 된다. 기록하지 않았지만 경회루를 설명하며 주역의 중천건괘를 인용한 부분, 완물상지, 여기(餘技)와 주자학적 질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난 부분에 대한 설명 글 등이 인상적이었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