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지(之)가 쓰기가 되고 있다. 참척(慘慽)을 당했던 세 작가(한무숙, 박경리, 박완서)에 대해 쓰다가 문학평론가 문혜원이 한 ‘시론(詩論)의 실험장(實驗場)‘이란 말을 듣고 김인환 평론가가 오래 전에 한 ‘언어의 연병장(練兵場)‘이란 말을 찾아보았다.
문혜원 교수는 김춘수 시인에 대해 그는 시가 자연스러운 감정의 표현이라는 전통적인 관념을 깨뜨리고 시가 사유의 산물이거나 시론의 실험장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해보였다고 말했다.(2017년 7월 출간 ’존재와 현상‘ 7 페이지)
반면 김인환 교수는 “그들(중국인들)에게 불교는 단순히 새로운 사상 체계가 아니라 중국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단련하는 언어의 연병장이었다.”는 말을 했다.(1993년 9월 출간 ’상상력과 원근법‘ 188 페이지)
지난 해 나온 평론집을 읽고 출간 25년이 된 책을 찾아보게 되다니...
내가 실험이니 훈련이니 하는 말에 아직 흥미를 느끼는 것은 아직 내 공부가 얕기 때문이리라.
모색(摸索)이란 말, 더구나 암중모색(暗中摸索)이란 말을 좋아하는 아니 아직도 그런 말로 나를 수식하곤 하는 나는 누구일까?
문혜원 교수는 시와 철학이라는 연구의 장(場)이 되어준 김춘수라는 텍스트에 특별한 감사와 우의를 표한다는 말을 했다. 이런 글은 영감을 준다. 아직 나는 감사해야 할 특별한 텍스트를 갖지 못했다.
“변변치 못한 부모에게 마지막까지 ’존경과 사랑‘을 보내준 너에게 마음속으로부터 감사하면서 다시 없이 아름다우면서 또 한없이 두려운 인간의 사랑을 아파한다. 그리고 나에게 아물지 못하는 상처를 준 것은 너를 잃은 일뿐이 아니고 배반이 없었기 때문에 티없이 순수했던 슬픈 사랑이기도 했다는 것이 사무치는 것이다. 미워하는 것보다 사랑하는 것이 더욱 아프다는 것을 이제야 깨달은 어리석은 어머니다.”
한무숙 작가가 미국에서 의사로 일하던 아들을 교통 사고로 잃고 쓴 단편 ‘우리 사이 모든 것이’의 구절들이다.
오늘은 이 구절로 마무리 하자. 갈 지(之)가 쓰기의 대미(大尾)를 위해. 내 사유를 단련할 연병장이거나 실험장이 되기에 충분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