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11시부터 벽초 홍명희 옛 집터, 함석헌 기념관, 김수영 문학관, 연산군 묘 등을 순례했다.
도봉문화원과 연락이 닿아 연산군 자료집 몇 권을 얻었다. 가는 곳마다 이야기로 소통할 수 있었다.
가장 인상적인 곳은 함석헌 기념관이었다. 함석헌 기념관은 선생님의 묘소가 있던 연천(전곡읍 간파리. 내가 사는 곳은 전곡읍 전곡리) 이야기, 하이젠베르크의 ‘부분과 전체‘를 번역한 김용준 선생님과 선생님의 인연, 무교회주의의 우찌무라 간조와 선생님과의 인연을 이야기하기에 좋은 곳이다.
김용준 선생님은 20대 초이던 1949년 봄 우연히 들은 선생님의 강연에 푹 빠져 ‘내가 본 함석헌‘이란 책을 쓰기까지 했다. 11년 전인 2006년의 일이다.
김용준 선생님은 자신의 전공인 유기화학 외에 모든 것을 선생님으로부터 배웠다는 말을 했다.
일정을 마쳤으나 시간 여유가 없어 커피도 마시지 못하고 언주역까지 직행해 마감 직전에 병원에 들어가 위장약 처방전을 받고 병원을 나오는 길이다.
연산군 자료를 펼치니 명성태황후 121주기 기신제 참반(參班)기가 눈에 들어온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이 명성황후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나온다.
˝왕후는 가냘픈 미인이었다... 눈은 차고 날카로워서 훌륭한 지성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명석하고 야심적이며 책략에도 능할 뿐 아니라 매우 매혹적이고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사랑스러운 여인이었다.˝
비숍 여사의 여행기를 출처로 하는 글이다. ‘연산군‘에는 의외로 단종의 시가 실려 있었다.
원통한 새 한 마리가 궁궐에서 나오니
외로운 몸 그림자마저 짝 잃고 푸른 산을 헤매는구나
밤은 오는데 잠들 수가 없고
해가 바뀌어도 한은 끝없어라
산에 울음소리 끊어지고 달이 흰 빛을 잃어가면
피 흐르는 봄 골짜기에 떨어진 꽃만 붉겠구나
하늘은 귀먹어 하소연을 듣지 못하는데
서러운 이 몸의 귀만 어찌 이리 밝아지는가
특별한 설명 없이 언급된 단종의 삶에 관한 글에 인용된 시이다.(이유가 궁금하다.) 너무 가슴 아픈 시이다. 할 말을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