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 보면 업(業)을 짓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 업을 짓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하면 행동을 변명하는 것이 되겠기에 그렇게 말하지는 않겠다.
지난 2009년 한 약사로부터 짐을 맡아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약을 지으러 가 알게 된 분이다.

약사인데 약국에는 한약 밖에 없고 가족 관계도 베일에 가려진 분이었다. 역마살이 있다는 말, 무병을 해소하기 위해 떠도는 무녀(약사)라는 말 등이 내가 그 분에 대해 들은 전부이다.

그 분과 친해진 것은 책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이었다. 종교, 사상, 문학, 동양 의학 분야의 책들이 나와 그 분을 연결했다고 할 수 있다.

나는 그 분에게서 책 200권(현재 이 책들은 대부분 처분되었다. 방은 한정되었고 새 책을 계속 사느라 그렇게 된 것이다.) 정도를 받았다. 맡아 달라는 물건은 음반(CD, 테이프 등)이었다.

200장 정도의 CD(팝, 가요)였는데 좁은 내 방을 감안하면 공간 잠식 정도가 만만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 분은 물건을 곧 찾아가겠다는 말과 달리 몇 년이 지나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2014년) 선배로부터 LP(클래식) 200 여장과 엠프 시설을 받게 되었다.

이 분은 이사 가게 될 집이 좁아 수용할 수 없는 것들 가운데 불요불급한 것들을 내게 처분한 것이었다.

그러지 않아도 좁은 방이었는데.. 그 약사 분에게 물건을 찾아가라고 연락을 시도했지만 두절 상태였다.

어쩔 수 없어 나는 그 분이 맡아달라고 한 음반들을 폐기처분했다. 그런데 몇 개월이 지나 그 분이 나를 찾아 집으로 왔다.

아니, 이럴 수가.. 분명 연락이 닿지 않아 처분한 것이지만 잘못은 내게 있는 것이었다.

몹시 놀라는 표정으로 도무지 이해 못하겠다, 어떻게 그럴 수 있냐는 등의 말을 되풀이하는 그 분에게 나는 죄송합니다, 클래식 엘피를 드릴까요? 란 말을 했지만 그 분은 아무 말 없이, 조건 없이 내 집을 떠나갔다.

그 일이 있은 지 만 3년이 지났다. 어제 방 정리를 하다가 그 분에게서 받은 신영복 선생님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고미숙 등 번역 박지원 ‘열하일기‘, 제인 구달의 ‘희망의 이유‘, 김철의 ‘몸의 혁명‘ 등의 책들을 다시 보며 아련한 감회에 젖었다.

당시 음반 꾸러미를 밖에 내놓자 누군가 십 분도 되지 않아 보물이라도 되는 듯 낚아채간 기억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비 내리는 날 내보낸 음반이 생물인 듯 여겨져 미안한 마음이 많이 든다.

그 약사 분은 누군가의 행동이나 성격을 들으면 그 사람의 증상을 참 기막히게 맞혔다. 그래서 사람들이 그 분을 무녀 약사라 하는 것인가 보다.

김인호가 쓴 ‘조선의 9급 관원들‘에 ‘기생인지 의사인지 모를 의녀(醫女)‘라는 글이 있다. 조선 시대의 능 관리직인 종 9품의 능참봉(陵參奉) 이야기를 듣고 산 책이다.

태풍이라도 불어 나무가 부러지거나 상하면 처벌을 받았던 능참봉도 그렇고 기생 취급을 받은 의녀도 그렇고 참 고단한 인생들이었다.

물론 우리가 알지 못하는 즐거움도 있었을 것이다. ˝하찮으나 존엄한˝ 그 분들의 후예들(비정규직, 계약직 등)로 인해 세상이 굴러간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지방대 시간 강사(뿐이겠냐만)의 열악함도 돌아보게 된다.

여기저기 어려운 사람들 천지다. 시오마치 코나의 ‘˝죽을 만큼 힘들면 회사 그만두지 그래˝가 안 되는 이유‘란 책을 읽어보고 싶다.

저자는 자신도 모르게 자살을 시도했다는 과로 자살에 관한 여덟 페이지 만화를 트위터에 올려 큰 공감을 받은 사람이다.

이해하고 배워야 할 세상! 다만 그렇게 궁지에 몰리면 회사를 그만 두는 것이 안 된다고 말하면 자살을 용인하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비전문가의 걱정도 든다. 그러니 그들을 그런 궁지에 몰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