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채 정리가 안 된 거친 글!
[성리학, 조선의 기록 문화, 궁궐 건축 양식과 용어, 조선시대 국가 제사, 종묘, 조선 왕실 여성과 궁녀(이상 A 교육기관)],
[한양도성과 풍수, 조선의 유교 문화, 종묘, 사직, 문묘, 조선의 제례문화, 왕릉(이상 B 교육기관)]
최근 해설사 교육 과정 수강생 모집 공고를 낸 두 기관이 내년 초부터 강의하겠다고 발표한 프로그램들 중 주목할 것들이다.
궁궐이나 종묘 등의 건축물 또는 공간을 주제로 삼았음은 물론 이론이나 관습 같은 비가시적 주제도 포함시킨 것이 큰 특징이다.
풍수와 성리학 강의가 눈에 띈다. 조선의 궁궐과 능이 모두 풍수 원칙에 따라 지어졌기 때문에 궁궐이나 왕릉 공부를 하거나 해설을 하려면 풍수 공부는 필수이다.
그런가 하면 유교 그 가운데서 성리학은 조선을 규정하고 움직인 사상이기에 배워야 한다.
해설 시간은 풍수 강의 시간도 아니고 성리학 강의 시간도 아니다. 단 풍수나 성리학 원리가 반영된 조선의 가시적인 것, 비가시적인 것들을 이해하려면 기본은 알아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의미 있지만 짧은 기간 내에 다 배울 수 있는 것이 아닌 프로그램을 배정한 것은 구색 맞추기를 위한 것도 아니고 과시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
관건은 교육 후 스스로 공부하라는 뜻으로 마련한 프로그램들이라는 점이다. 이 프로그램들은 내가 속한 해설 단체의 교육 프로그램과 차이가 확연하다.
다시 말하지만 관건은 독학(獨學)이거나 동학(同學)이다. 저 프로그램들을 배운 사람들이 (그렇지는 않겠지만) 교육생 시절에 배운 것을 마중물로 삼아 스스로 더 공부하지 않는다먼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는 우리에게 아니 나에게 하는 말이기도 하다. 만일 교육생 시절에 배운 것에서 더 나아가지 않는다면 차별화 또는 독창성에서 내세울 만한 무기를 갖추지 못하는 결과가 된다.
단 차별화나 독창성의 발현도 정설의 테두리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중요한 것은 책(을 지렛대로 삼는 것)이다. 정설 안에서도 새롭게 볼 여지는 많다.
해설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들 가령 자연과학, 예술, 철학들도 해설을 풍성하게 하고 짜임새 있게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그렇게 하는 것이 책이다.
지금 내가 속한 교육 기관의 기초 과정에 등록한 후 저 두 교육기관을 알게 되어 호감이 있었음에도 옮겨가지 않은 동기가 있다.
그의 낭패감을 이해한다. 하지만 어디서 무엇을 배웠든 중요한 것은 스스로 갈고 닦는 것이다.
자료 찾는 법, 생각 이어나가는 법, 주제 설정하는 법 등을 배울 수 있다면 최고이겠지만 영업 비밀인지 유명 강사들도 그런 것을 말하지는 않는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눈, 상상으로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을 잇는 것 등등이 필요하다.
잠시 저 두 교육기관을 호화 강사들로 하여금 좋은 내용들을 가르치게 한다는 이유로 부러워한 잘못을 뉘우친다.
스스로를 등불로 삼고 법(法; 가르침; 경전)을 등불로 삼으라는 말씀(자등명自燈明 법등명法燈明)을 하신 부처님이 생각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