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둘째 주 토요일인 지난 11일 늦가을 추위 속에서 우리나라 궁궐들 중 가장 아름다운 창덕궁 해설을 들었습니다. 최신작인 한양 읽기의 저자 홍순민 교수님께서 해주신 직강(직접 강의)의 시간이었습니다.

 

입장을 위해 표를 사려고 길게 늘어선 다른 여러 일행들 때문에 시작 시각을 넘길 수 밖에 없었지만 오히려 그것이 더 많은 해설을 들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해 좋았습니다. 흔히 창덕궁 해설은 정문인 돈화문 바로 앞에서 시작하는 것이 관례처럼 되어 있지만 교수님께서는 사실상 궁궐이 시작되는, 소맷돌로 장식된 임금의 계단이 좌우 계단을 거느리고 있는 바깥 지점에서 해설을 시작하시는 새로운 면을 보여주셨습니다.

 

돈화문은 액자에 그림을 담은 것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북한산 보현봉에 맞춰 설정한 문이라는 설명부터 예사롭지 않았고 북한산 한강’, ‘응봉(鷹峯) - 청계천’, ‘인정전 뒤의 산 금천교의 물이라는, 먼 곳에서 가까운 곳으로 프레임을 좁히는 구도로 여러 차원의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설명하신 것을 보며 전체적인 틀을 헤아리도록 길을 제시한 것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특별히 인상 깊었던 것은 일제에 의해 훼손된 궁궐을 원래 모습과 다르게 생각 없이 복원시킨 여러 지점을 비판적으로 지적하신 것이었습니다. 당신의 비판은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날카로운 것이라는 애드립(?)으로부터도 배웠습니다.

 

고가의 외제 명품이 진짜 명품이 아니라 우리 것이 진정한 명품이고 그런 것을 알아보는 사람이 가치있다는 말씀에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내전(內殿)인 희정당 영역에서는 일제에 부역했던 화가들의 그림이 격에 맞지 않게 배치된 서양식 장식물들과 함께 위화감을 조성하는 현실을 새삼 느꼈습니다.

 

적절한 유머 속에서 이것이 중요한가 저것이 중요한가 하는 질문에는 답하지 않는 것이 최선이라는 점도 배울 수 있었습니다. 평소 친숙하게 대하던 창덕궁도 얼마든지 새롭게 볼 수 있음을, 아니 그래야 한다는 사실을 생각한 시간이었습니다.

 

중요한 내용을 스마트폰 메모장에 기록하느라 놓친 부분이나 전체적인 동선, 답사 방식 등을 다시 눈여겨 보기 위해 해설 답사 기회가 한 번 더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염치 없는 생각이지요?) 이번 해설 시간은 명강을 듣기 위해서는 듣는 사람도 준비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한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