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알고 ‘어둠 속의 작업‘이라는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의 장편 소설을 읽었는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작고한 문학평론가 김현 교수의 소개 글을 읽고 접하게 되었거나 문학평론가 김화영 교수의 책을 통해 알고 읽게 되었거나 두 가지 중 하나이다.

김현 교수의 책에서 파스칼 레네의 ‘레이스 뜨는 여자‘를 알게 되어 읽은 기억은 확실하다.

김화영 교수의 책을 통해서는 파트릭 모디아노에 대한 소개 글을 읽은 것이 확실하다.

유르스나르의 소설 중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이란 작품이 있다. 이 소설은 뛰어난 장군 출신으로 로마의 평화를 이룬 비범한 황제 하드리아누스가 죽음을 앞에 두고 편지 형식으로 쓴 작품이다.

병고에 시달리던 황제가 이올라스라는 젊은 의사에게 독약을 조제해 줄 것을 호소한다. 이올라스는 황제를 동정하지만 히포크라테스 선서 때문에 거절한다.

황제가 거듭 호소하자 이올라스는 설복된다. 하지만 이올라스는 실험실에서 시신으로 발견된다.

황제의 제의를 거절하지 않으면서 히포크라테스 선서도 지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이올라스가 택한 죽음이었다.

이올라스의 이야기는 소설 전체의 주제부는 아니지만 딜레마적인 삶을 알게 하는 의미 있는 부분이다.

강석경 작가의 ‘숲 속의 방‘이란 소설에 하드리아누스의 제의에 자살로 대응한 젊은 의사 이올라스의 이야기가 나온다.

‘숲 속의 방‘은 우울증 관련 자료를 찾다가 20년 정도만에 다시 읽게 된 소설인데 이 소설에서 이올라스는 혜양이라는 학생으로 하여금 의대를 선택하게 한 인물로 나온다.

이것도 할 수 없고 저것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자살이라는 제3의 길을 택한 것에 불편감을 표하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올라스가 자기희생의 숭고한 인물임에는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절대 죽음이 장려되어서는 안 된다. 상황도, 개인의 실존도 절대적이지는 않고 그때 그때의 선택이 중요하리라.

삶은 그 둘이 만나 변증법적으로 생성되는 무엇이다.

이올라스가 1안(案)도 아니고 2안도 아닌 제3의 안을 택했듯 우리에게는 그런 지혜로운 선택이 필요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