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그해 11월 4일 오전 우리가 성철스님이라고 불렀던 수도자는 세수(歲首), 82세 법랍(法臘) 59세의 삶을 마치고 그분이 늘 응시하던 불생불멸의 풍광(風光) 속으로 고요히 걸어들어가셨다. 무슨 까닭이었을까. 그 시월의 해인사 뜰녘에 선 나는 그분이 ”머지않아 곧 가시겠구나”라는 선명한 예감을 기(氣)로 느꼈다....“

93년 10월 13일 월간 ‘해인(海印)’지(誌)에 실린 일지(一指) 스님의 글이다. 외우는 글인데 오늘 오랜만에 그 글을 보고 머지않아 곧 가시겠구나라는 부분에 인용 부호가 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스님의 ‘월정사의 전나무 숲길’에도 실린 저 글을 읽은 지 20년 정도가 되었는데 이제야 발견하다니.. 추정되는 이유라면 인용 부호 정도를 분별할 겨를이 없을 만큼 글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아 곧바로 외운 뒤 그 내용이 있는 부분은 다시 들춰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는 점이다. 어떤 분의 말씀일까?

올해는 해인(海印) 총림(叢林)이 설립된 지 50년이 되는 해이다. 총림은 수행승들이 한곳에 머물며 수행하는 것을 나무가 우거져 숲을 이루는 모양에 비유한 이름이다.(해인사는 신라의 승려였던 순응과 이정에 의해 802년 세워졌다.)

고려 대장경(大藏經)을 보관하고 있기에 법보 사찰인 해인사의 총림 설립 50년은 우리나라사찰들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창덕궁(昌德宮)과 종묘(宗廟) 외의 다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대해서는 깊은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는데 해인사에 보관된 고려 대장경과,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지은 장경각(藏經閣)도 세계문화유산이다.(장경각이 지어진 것은 조선시대인 15세기이다.)

오는 10월 10일 오후 1시 해인사 보경당에서 해인 총림 개설 50주년 기념 및 유네스코 등재유산 활용과 가치 학술세미나가 개최된다고 한다.

일지 스님의 산문집인 ‘월정사의 전나무 숲길’로부터 받은 영향 때문에 나는 그 후 스님이 쓴 이론서인 ‘중관(中觀) 불교와 유식(唯識) 불교’, ‘붓다 해석 실천’ 등을 읽었다.

이해를 위해 지금도 고투(苦鬪)의 길을 걷고 있지만 탄탄한 논리와 정연함에 흡족하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나는 불교 이론 공부도 해야겠지만 문화유산 공부를 위해서라면 불교 미술 공부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미술사학자 강우방 박사의 글이 눈길을 끈다. ‘젊은 날 낭만·방황의 진원지’(2002년 6월 17일 중앙일보 강남통신 수록)라는 필자의 글에는 플라타너스, 낙산(駱山)자락, 동숭동 학림(鶴林)다방 등의 단어들이 등장한다.(나무, 사람, 건축물의 유기적 결합!)

앞의 두 단어가 문화 해설과 관련해 내가 최근 들은 것들이라면 지금은 학림(學林) 다방으로 변한 학림(鶴林) 다방의 학림(鶴林)은 석가모니가 입멸(入滅)한 곳인 쿠시나가라 사라쌍수(娑羅雙樹)의 숲을 지칭하는 말이다.

최근 정동(貞洞) 유람(遊覽) 중 마로니에가 칠엽수(七葉樹)의 별칭이라는 사실, 불교 1차 결집이 이루어진 칠엽굴(七葉窟)이 주위에 칠엽수가 많아서 불리게 된 이름이라는 사실 등을 알았다.

여태동 기자의 ‘점심 시간엔 산사에 간다’ 등을 참고해 틈나는 대로 사찰에 들르고 싶다. 해설을 들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 있을지?

내게 불교 미술서들은 중관, 유식, 아비달마 등의 이론서와 불교 신앙서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게 하는 방편(方便), 궁궐 문화를 더 잘 알게 하는 촉매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