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는 연천의 한 작은산에 조각가 유영호 님의 ‘그리팅맨’이라는 작품이 설치되어 있다. 북한 사람들도 보라는 의미로 크게 만든 조각이라는 말이 있지만 그들이 보기에는 너무 작다. 이 작품 이후 ‘고궁박물관에서 서촌’ 가는 길에 연천 것의 1/3 정도인 작은 그리팅맨을 보았다. 같은 작가가 만든 작품이다.

 

15도 각도로 인사하는 공손한 모습을 하고 있는 작품이다. 마포구 상암동 DMC 광장에 설치된 동(同) 작가의 미러맨이란 작품도 거대 조각이다. 이 작품은 지난 해 출판 편집 강의를 들으러 가는 길에 만났다.

 

지난 2월 모임 장소였던 시네큐브 가는 길의 흥국생명 빌딩 앞에서 완전히 다른 느낌의 거대 조각을 보았다. 조너선 보로프스키의 ‘해머링맨’이란 이름의 작품이다. 노동의 신성함과 보편적 인간상에 대한 사유를 담은 작품이라고 한다.

 

지난 해 문화 해설 수업 시간에 인간의 손을 조각한 작품을 설명하라는 과제를 받고 ‘손은 정신의 칼날’(야콥 브로노프스키), ‘손은 밖으로 드러난 뇌’(칸트) 등의 말을 인용하며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한 위대한 손을 찬양하는 의미로 만든 조각이라는 설명을 했던 기억이 난다.

 

이 밖에 우리나라에 여러 공공 미술이 있어(1만 5천 점) 내가 못 본 작품들에 비하면 내가 본 것은 너무 하찮은 수이지만 일상에서 참 많은 미술 작품을 본 듯한 느낌마저 든다. 지난 금요일 정동(貞洞) 공원에서 본 몇몇 작은 청동 조각상도 내가 거리에서 본 미술품으로 계산해야 하리라.

 

명당(明堂)을 찾은 조선의 풍수(風水)와 달리 인체의 혈(穴)에 침을 놓듯 주요 지점에 절을 창건하고 나무를 심어 지기(地氣)를 북돋고 그 자리를 명당으로 만들려 한 고려 풍수가 생각난다. 조각상들로 인해 도시가 조금이나마 아름다워지는 것에서 현대판 풍수라는 말을 떠올려도 될지? 차이가 있다면 현대의 조각상들은 사유를 유도한다는 부가의 특징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