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 테스트가 페부커들의 게시 글을 보고 가장 좋아하는 단어를 알려주는 프로그램에서 내가 무척 좋아하는 단어로 ‘게리는‘이라는 단어가 선정되었다. ‘게리는‘이 무슨 뜻일까?

게리는 지난 2012년 일반 관람객이 없는 이른 시각에 자신과 일행들 몇몇만 종묘를 특별 관람하게 해달라고 해 어렵게 꿈을 이룬 분으로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을 설계한 세계적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 1929 - )이다.

그는 종묘 정전 만큼 장엄한 곳은 다시 보기 힘들다는 말을 했다.

1985년 국립 로마박물관을 설계한 건축가 라파엘 모네오(Rafael Moneo; 1937 - )가 지난 6월 한국을 찾았다. 이 분은 세계 건축계에서 드물게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대스승으로 알려진 분이다.

게리가 표면적으로는 삼성 리움 미술관 특강을 위해 한국에 왔지만 실은 종묘 정전을 보러 온 것이라면 모네오는 서울대 강연을 위해 한국에 오자마자 덕수궁, 광화문, 서촌 등을 찾았고 종묘에서는 해설사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했다.

모네오는 종묘에 대해 담장 밖은 바쁜 서울인데 담장 안 종묘는 전혀 다른 영적인 세계라며 감탄했다. 영적인 세계란 내 식으로 말하면 잠시 세속의 번잡함과 어수선함을 잊을 수 있는 곳이다.
종묘가 이런 찬사를 받는다는 사실이 반갑고 궁(宮)보다 묘(廟)를 더 좋아하는 내 취향이 인정받은 듯 해 기쁘다.

나는 물론 묘(墓)도 묘(廟) 만큼 좋아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능(陵), 원(園), 묘(墓) 가운데 능을 좋아하는 것이다.

능은 왕과 왕비의 무덤이고 원은 왕세자와 왕세자비의 무덤이고 묘는 대군, 공주, 옹주, 귀인 등의 무덤이다.

해설사로서 필수인 연구팀으로 왕릉연구팀을 선택하며 나는 종묘 연구팀도 있다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다섯 곳에 산재해 있는 궁궐, 수십여 곳에 나뉘어 있는 능과 달리 종묘(宗廟)는 한 곳에 있지만 그 주인공들은 궁과 능의 주인공들과 같다.

그러니 이야기거리는 얼마든지 있다. 다만 계속 한 곳에서만 모인다는 점이 걸림돌로 인식되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