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도덕의 계보 읽기 세창명저산책 45
강용수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자기 자신을 잘 알지 못한다..니체가 도덕의 계보서문에 쓴 말이다. 이 말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니체의 의도란 우리 자신을 알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특별히 도덕적 편견에 대한 기원을 해명하는 것이 도덕의 계보의 핵심 주제이다. 니체는 좋음과 나쁨이라는 가치판단이 사라진 후에 선과 악이라는 노예적인 판단이 등장했다고 보았다.

니체는 선한 것 자체는 없다고 보았다. 선과 악의 판단은 그 자체가 아닌 인간 자신의 계급적 차이에서 유래했다는 의미이다. 본래 이기적이었던 동기가 이익을 얻는 입장에서 긍정되다가 그것이 망각되면서 그 자체가 선한 것으로 착각되는 것이다.

그 자체로 선한 동기(動機)는 없다는 니체의 사상은 칸트의 동기주의에 반대된다. 니체는 전사(戰士) 계급과 귀족 계급을 옹호한다. 반면 성직자 계급은 옹호하지 않는다. 니체에 의하면 성직자 계급은 전사와 전쟁을 치를 수 없기에 정신적인 것으로 보복해 이기려 한다.

유대인들은 강력한 것, 고귀한 것, 아름다운 것이 좋은 것이라는 등식을 비참한 자만이 오직 착한 자라는 생각, 가난하고 무력한 자, 비천한 자만이 착하고 신에 귀의한 자라는 등식으로 바꾸는 역전(逆轉) 또는 가치 전환을 이루어냈다. 유대인과 더불어 도덕에서 노예 반란이 시작되었다. 이것이 약자와 노예가 승리한 서구 2천년의 역사이다.

고귀한 도덕은 자기 자신의 긍정에서 생겨나지만 노예 도덕은 처음부터 밖에 있는 것, 다른 것, 자기가 아닌 것을 부정하는 데서 생겨난다. 도덕에서의 노예 반란은 반작용에서 비롯된 르상티망(ressentiment: 원한, 증오, 질투 등의 감정이 반복되어 마음 속에 쌓인 것)에 근거한다.

노예의 덕목은 침묵, 기억, 기다림, 왜소, 굴종, 영리함이다. 원한을 지닌 인간은 정직하지도 순박하지도 않으며 자기 자신에 대해서 진지하지도 솔직하지도 않다. 그의 영혼은 곁눈질을 한다. 원한을 가진 사람은 나쁜 적, 악한 사람을 생각해내고 그것의 잔상(殘像) 또는 대립물로 자기 자신이라는 선한 인간을 만들어낸다.

고귀한 인간은 자기의 좋음에서 나쁨을 만들어내지만 노예는 증오에서 타자의 악함을 만들어낸다. 니체는 좋음의 두 가지 기원을 말한다. 독수리에서 유래한 것과 양()에서 기원한 것이다. 포식자인 독수리는 고기 맛을 좋다 나쁘다로 판단한다. 양은 선함과 악함으로 판단한다.

독수리는 양고기가 맛있기 때문에 양을 좋아한다. 양은 독수리가 사악하다고 생각하고 자신은 반대로 선하다고 생각한다. 니체는 번개 치는 현상을 주체와 활동으로 구분하여, (섬광)을 원인으로 설정하고 뒤(번쩍임)를 결과로 보는 활동의 활동 곧 활동을 중복시키는 오류를 지적한다. 니체에 의하면 활동이 모든 것이며 활동하는 자(주체)는 활동에 덧붙여 상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니체는 보복하지 않는 무력감을 선()과 겸허와 순결로, 비겁함을 덕으로, 인내와 가련함을 신의 선택으로 보는 것을 비유적으로 화폐 위조로 정의한다. 약자의 화폐위조, 자기기만의 목적은 약자인 자신이 선하다고 말함으로써 강자인 타자를 악으로 낙인찍음으로써 지배자가 되려는 것이다.

인간은 어떻게 기억을 가지게 되었고 더 나아가 양심을 가지게 되었는가? 기억을 통해 만들어진 양심이란 인간의 타고난 본질이 아니라 사회적인 강제성에 바탕을 둔 잔인한 고통의 흔적을 담고 있다. 니체는 도덕계보학자의 입장에 따라 죄라는 도덕적 개념이 부채(負債)라는 경제적 개념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채무법에서 죄, 양심, 의무 등의 도덕적 개념이 발생했다.

정언명법(定言命法)을 통해 처음으로 죄와 고통이라는 무서운 관념의 결합이 고정되었다. 잔인함 없는 축제는 없다. 형벌에서도 축제적인 것이 있다. 견디기 어려운 것은 고통 자제가 아니라 의미 없는 고통이다. 니체는 과학적 공정성도 원한 정신 자체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 능동적 인간은 편파적이지 않고 악의도 없이 훌륭한 양심으로 판단한다. 반동적 인간은 양심의 가책인 원한으로 판단한다.

양심의 가책을 발명한 사람은 원한의 인간이다. 채권자 스스로 채무자의 빚을 대신 갚는다는 대속(代贖)자의 개념이 신으로 등장한다. 신 스스로가 인간의 죄 때문에 자기를 희생한다. 채권자로서 신이 인간이라는 채무자의 빚을 대신 갚아 줌으로써 절대 상환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인간의 부채()는 영원한 벌이다.

신에 대한 죄책감, 이는 인간에게는 고문의 도구가 된다. 니체에게 대지는 너무 오랫동안 이미 정신병원이었다. 신성한 신의 기원이 바로 양심의 가책이기 때문이다. 반면 그리스인들은 양심의 가책에서 자신을 떼어놓고 영혼의 자유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스인들은 죄가 아닌 어리석음을 인정했다. 그리스인들은 신을 악의 원인으로 이용했지만 신들은 벌주는 것을 맡은 것이 아니라 더 고귀한 것 즉 죄를 맡았다.

니체는 미()에 대한 칸트의 무관심과 스탕달의 행복의 약속이라는 상반된 정의를 비교한다. 니체는 칸트의 무관심의 미학에 반대해 다음과 같이 묻는다. 여성의 관능미를 무관심하게 바라볼 수 있는가. 무관심성이란 칸트 미학에서 다루어진 개념으로 인간이 대상을 사사로운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관조할 때 진정한 미적 쾌락을 얻는다는 것이다.

금욕주의적 이상이란 철학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좋은 의미에서 금욕주의는 긍정이다. 금욕주의적 이상이란 생존의 부정이 아니라 자신의 생존만을 긍정하는 것이며 무관심이 아니라 관심이다.(92 페이지) 철학자는 세 가지의 현란하고 요란한 것을 싫어한다. 명예, 제후, 여성이다. 너무 밝은 빛, 대낮, 자신의 시대를 싫어한다. 그 빛 안에 그림자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니체는 기독교 사제의 금욕주의를 비판하면서도 철학자의 이상적인 금욕주의를 진리추구의 생산적 조건으로 긍정한다. 철학적 금욕주의의 이상은 세계 부정, 삶의 적대시, 감각 불신, 관능에서의 해방, 초탈의 태도이다. 마지막 죽음의 고통 속에서의 승리, 이 최상의 기호 아래 옛날부터 금욕주의적 이상은 싸워왔다.

하나의 눈만이 있다면 하나의 방향만 인정하게 되어 능동적이고 해석적인 힘은 저지된다. 오직 관점주의적 인식만이 존재한다. 금욕주의적 성직자는 다른 곳에 존재하고 싶은 체화된 최고의 소망, 열정, 정열을 가진다. 금욕주의는 다른 방식으로 존재하기 위한 도구일 뿐이다. 니체에 의하면 인간은 병든 동물이다.

부끄러운 감정의 유약화, 병자가 건강한 사람을 병들게 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 지상 최고의 관점이 되어야 한다.(111 페이지) 병든 양()은 자신이 느끼는 고통의 감정의 원인이 타인에게 있다고 본다.(타인 책임 전가) 반대로 성직자의 말에 따르면 고통은 자기 책임이다.(원죄) 죄라는 것은 생리적 장애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다. 정신적 고통은 영혼의 탓이 아니라 배()의 탓일 것이다.

금욕주의적 성직자는 진정한 구원자가 아니다. 의사로서 고통 자체, 불쾌와 싸우고 있지만 그 원인인 진정한 병과 싸우고 있지 않다.(118 페이지) 주인본능을 옹호하는 니체는 무리본능을 비판한다. 금욕주의 성직자는 불쾌와 싸우기 위해 죄를 고안해냈다.(124 페이지) 지옥은 영원한 고통으로 발명된 것이다.(126 페이지)

현대과학도 금욕주의의 양식이다. 유용한 것 때문에 과학에 대한 만족을 말하지만 그 반대로 과학은 양심의 가책 등 이상의 상실에 대한 불안, 사랑의 결여, 고통과 불만의 반영이다.(128 페이지) 과학은 오늘날 모든 종류의 불만, 불신, 설치류 벌레, 자기 멸시, 양심의 가책 등이 숨는 은신처이다.

과학은 해석(정서)을 제거하고 사실만을 다루려는 점에서 금욕주의적이다.(130 페이지) 과학이란 방법적으로 신앙을 먼저 전제한다. 과학은 신앙을 통해 삶의 세계, 자연의 세계, 역사의 세계와는 다른 세계를 긍정하기 위해 이 세계, 우리 세계를 부정한다. 과학은 금욕주의, 생명의 빈곤화에 근거하며 예술은 생명의 넘침에 근거하면서 금욕주의에 호소한다. 플라톤이 저편 세계의 인간으로 삶의 비방자라면 호메로스는 아무 의도가 없는 삶의 숭배자이다.(132 페이지)

과학의 승리는 인간의 자기 왜소화를 의미한다. 비록 오역을 했지만 기독교는 고통을 죄로 해석함으로써 인간을 무의미의 늪에서 구해냈다.(139 페이지) 인간은 의욕하지 않는 것보다 오히려 허무를 의욕하고자 한다. 인간은 해석학적 존재이다. 물음을 통해 해답에서 의미를 찾는 존재이다.(140 페이지)

도덕의 계보학은 도덕의 이질적인 가치의 복합성, 복잡성, 비일관성을 밝혀낸 책이다. 도덕의 계보학은 들뢰즈, 푸코 등에 큰 영향을 미친 책이다. 니체가 유일한 논문 형식으로 쓴 이 책을 통해 얻고자 한 것은 삶 자체에 대한 무한 긍정이다. 문제는 원전(번역본)을 읽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