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들끼리는 돈 이야기를 하고 부자들끼리는 예술 이야기를 한다.. 톨스토이가 한 말이라고 한다. 삶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 같은 것이 돈이 아니겠는가? 문화방송 김소영 아나운서가 '예술 감상 초보자가 가장 알고 싶은 67가지'에서 이 말을 인용하기도 했다.

돈 이야기에 이런 저런 화제들이 생각난다.

...

1) 2004년 김수영 문학상 수상자인 황인숙 시인이 한 말; "내게도 생전의 김수영 선생과 닮은 데가 있다. 일상적 고민의 반 정도는 돈 문제라는 것. 약간의 물질적 보상에 문득 우화등선하는 느낌이다."

2) 그림 재테크; 예술에 관심 있는 부자들이 하기에 적당한 것일까, 아니면 돈에 관심 있는 예술가들이 하기에 적당한 것일까?

 

3) 정신분석 이야기: '페미니즘과 정신분석'의 한 꼭지인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에서 필자 성미라는 19세기 말 신경증에 걸린 귀부인들을 치료하기 위해 정신분석학이 등장했다는 말을 했다.

 

귀부인 역시 돈과 관련이 있다. 필자는 시간당 7만원의 돈을 지불하며 마음의 상처를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은 아주 소수에 불과하다는 말을 한다.

 

시간당 7만원은 상당한 액수이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고액만을 문제삼는다면 문제다.

정신분석의 목표는 증상을 소멸시키는 데 있지 않고 주체가 증상과 화해하고 그것과 함께 살아가게 하는 것이다.(백상현 지음 '라깡의 루브르' 98 페이지)

 

그러니 인내는 필수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인내는 긴 세월을 견디는 참을성의 문제이지만 그것 역시 돈과 긴밀히 연관된 것이다. ‘라깡의 루브르’에는 오귀스틴이란 15세의 소녀 이야기가 나온다. 19 세기 말을 살았던 그는 성적 피해를 당해 마비와 발작을 겪게 되어 샤르코 박사의 최면술 치료를 받는다.

 

그 결과 완치되지만 완치 이후로도 16 개월간 병원에 머물며 히스테리를 재현한 대가로 월 15 프랑의 돈을 받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병원에서 도망치듯 사라지는데 그 이후의 삶은 알려지지 않았고 사망 날짜마저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히스테리 재현은 자기 소멸의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4) 영화와 건축; 영화가 제작자(감독이 아닌 돈을 대는 사람)의 재력 및 안목 등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장르이듯 건축도 건축주의 재력과 안목, 추진력 등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는 장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