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내 거처(居處)에 몇 명의 인물들이 다녀갔다. 한 명의 포스트맨과 몇 명의 작가, 한 명의 화가, 몇 명의 작곡가가 그들이다.

포스트맨은 몸으로 왔고 몇 명의 작가와 한 명의 화가, 몇 명의 작곡가는 대화에 호출된 사람들이다.

클래식 LP 200여장을 가져가라는 말을 듣고 휴일에 맞춰 내 거처에 온 박**는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를 좋아해 자신의 명함을 조르바와 관련된 것으로 장식한 우체국 택배 담당 직원이었다.

간색(間色)인 자색(紫色)이 순색(純色)인 적색(赤色)을 빼앗는 것을 경계한 공자(孔子)의 후예인가, 생각될 만큼 그가 건넨 명함은 순수하게 붉은 색이었다.

‘soul bar(장차 차릴 것이라는 재즈 카페) 우체부, 박 조르(조르바의 그 조르)‘라는 그의 소개 문구가 약간 우습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는 자신처럼 우체부 일을 했던 작가 찰스 부코스키를 호출했고 나는 그의 선택에 영향을 받아 소방수, 자동차 외판원 등의 일을 하며 글을 쓴 커트 보네거트를 호출했다.

그가 가고 난 뒤 나는 19세기 독일 초기 낭만주의의 중요한 풍경화가인 카스파르 다비드 프리드리히의 그림을 불러냈다.

너무도 유명한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란 그림이다. 이 그림은 페친의 페친인 한 프랑스 시인이 프로필 사진으로 올린 그림이기도 하다.

이 그림은 제목 그대로 방랑하는 한 남자가 안개로 채색된 바다를 바라보는 모습을 담은 그림이다.

물리학자 레오나르도 콜레티는 ‘명화로 보는 32가지 물리 이야기’에서 이 그림을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의 일화와 겹쳐 설명한다.

콜레티에 의하면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처럼 하이젠베르크는 대학 연구원으로 일하던 괴팅겐에서 ‘꽃가루와 문명의 이기(利器)로부터 벗어난 헬골란트 섬’으로 가 수소원자 이론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했던 공식들을 되새기는 나날들을 보냈다.

그 섬은 자신만의 의미와 영감을 찾는 데 맞춤한 곳이었다. 하지만 언젠가는 떠나야 할, 원래로 돌아가야 할 출발점이기도 했다.

떠나야 할 때와 돌아가야 할 때, 머무를 때와 움직일 때를 잘 알아야 할 것이 아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