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 해밀턴의 원어 이름을 Alive Hamilton이라고 치고 말았다. 자판의 c 옆에 v가 있는 탓이고 내 손이 정교하지 못한 탓이다. 그런데 alive는 ‘살아 있는’, ‘생기가 넘치는’ 등을 뜻하기에 나쁘지 않다.

아니 그럴 뿐 아니라 ‘이 세상의‘라는 뜻도 가지고 있어 무언가 영감을 주는 단어라는 생각마저 든다.
납의 유해성과 수은의 직업병 관련 사실 등을 밝혀낸 해밀턴은 한 세기(1869 – 1970)를 살다 간, 직업병 연구와 산업 독성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매카시즘과 베트남전을 반대해 90 세가 넘은 나이에 정보 당국의 감시를 받은 분으로 연구 활동만이 아니라 사회 활동도 적극적으로 했다.

여학생이 없었던 시대의 하버드대에서 최초로 여성 교수가 된 분으로 여성 형제들이 결혼을 하지 않고 친하게 지낸 것으로도 화제를 낳은 분이다.

그가 활약했던 시대는 이상한 시대였다. 문득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생각난다.

하지만 이 경우 이상하다는 말은 원어로는 wonder이니 당시는 물론 지금의 기이하고 불합리하고 폭력적이고 충동적인 시대를 나타내는 말로는 부적절하다.

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앨런 그린스펀이 미국 주식시장의 거품을 우려하며 쓴 비이성적 과열(過熱: irrational exuberance)이라는 흘러간 말에서 힌트를 얻어 ‘비이성적인‘이라는 형용사를 써야 할까?

지금의 시대를 과열의 시대로만 볼 수는 없다. 어떤 분야에 대해서는 냉정하거나 무관심하기까지 하니 말이다.

어쩔 수 없지만 사람들은 정치에 과한 열정과 관심을 보이지만 문화 예컨대 비평 같은 것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지금은 비평의 대중성을 거의 기대하기 힘든 시대이다.(2017년 8월 5일 오길영 교수 페북 글 참고)

오 교수님은 비평이 사라지면 비평의 대상인 문학도, 영화도, 예술도 사라질 것이란 점에서 비평은 필요하다는 말을 했다.

지금은 거대한 물결 같은 것에 휩쓸려 비평을 포함해 소중한 것들을 아깝게 흘려보내는 현실이 상실감을 주는 시대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