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종기 시인의 시집 ‘조용한 개선’에는 가는 것 또는 떠나는 것을 노래한 시들이 많다. 떠남에 대한 시들이 마음에 전해지면 파문이 인다. 나도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지금 모든 것은 나에게서 멀어져가고 있다.˝(‘나도 꽃으로 서서‘), ˝우리는 깨끗이 직각으로 서로 꺾여져 가자˝(‘해부학 교실 1‘), ˝나의 사소한 기억도 언젠가 저 흰 꽃잎처럼 날아가 버리겠지.˝(‘기억의 하늘‘),

˝나는 나를 지켜준 모닥불의 온기를 이 들길에 고이 묻고 떠나리.˝(‘저녁 들길에서‘),˝갈 길은 지천이어도 마음은 때없이 나그네로다.˝(‘다섯 개의 변주‘), ˝오래 기다리다 이제 떠납니다˝(‘비망록 1‘),

˝나를 기다리던 골방의 친구는 멀지 않아 새로 푸르른 젊음을 장만할 것이고, 신대륙을 향한 경건한 소녀의 기도는 옛날에 나와 함께 나누던 꿈을 깨고 길을 떠날 것입니다.˝(‘제3 강의실‘), ˝나도 한때는 거기서 얼어 죽고 싶었다.˝(‘자유주의자‘)

시인은 과거를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떠남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들을 지은 것일 테다.

미국의 인지 심리학자 라파엘 뉴네즈가 시간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안데스 산맥의 인디언 부족들에 대한 이야기인데 그들에게 과거를 물으면 시야의 앞쪽을 가리키고, 미래를 물으면 등 뒤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그들은 과거는 이미 경험한 것들이어서 볼 수 있는 앞쪽에 있고, 미래는 경험하지 못한 것들이어서 등 뒤에 있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슈테판 클라인 지음 ‘안녕하세요, 시간입니다’ 7 페이지)

우리는 과거로 돌아갈 수 없기에 귀환에 대한 꿈은 언제나 실패로 끝난다. 칸트식으로 말하면 귀환은 불발로 끝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궁금한 것은 안데스 인디언들에게 그리움은 없을까?란 것이고, 고칠 수 없는 과거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지는 않는가?란 것이다.

마종기 시인의 다른 시집들을 읽도록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