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형 교수의 ‘간다라 미술’에서 무불상(無佛像) 표현이란 말을 만났다. (불)상을 만드는 대신 상징적인 것으로써 붓다의 생애를 도해(圖解: 글의 내용을 그림으로 풀이함)하는 것을 말한다.
빈(empty) 대좌(臺座: 불상을 올려놓는 대), 붓다의 발자국 등을 통해 상징적으로 붓다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관행 이후 붓다를 점차 신적 존재로 숭앙하는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붓다를 인간의 모습을 한 상으로 직접 대하고 예배하고자 하는 욕구가 불교도들 사이에서 점차 강해졌다.
하지만 무불상 관행은 쉽게 깨지지 않았다. 인간적 형상은 보는 사람들에게 나름대로 강한 정서적 힘을 발휘할 수 있지만 원형(붓다)과의 관계가 모호하고 언제든지 그런 모호성에 대한 의구심에서 벗어나기 힘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부분에서 베르그손의 엘랑 비탈(삶의 약동)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논의한 이정우 교수의 시도를 생각하게 된다.
약동은 낭만적 이미지 또는 정서적 이미지로 받아들이기 쉽지만 실은 결정론적 과정을 무너뜨리는 절대 차이를 말한다. 추상적인 것이다.
문제는 결정론을 쉽게 설명하지 못하는 내 역량이다.
인간적 형상이 불러일으키는 정서적 힘과, 삶의 약동을 낭만적 이미지로 보는 것을 한 데 묶어 논의하려는 것은 무리한 시도일까?
형상화에 대해 조심스럽던 태도로부터 불상이 출현한 것을 놀라운 일로 전제한 뒤 새로 등장한 법신(法身: 붓다가 설법한 정법正法) 사상(법신에 호소하는 것)이 오히려 형상화에 대한 제한을 과감하게 떨쳐 버릴 수 있게 하지 않았을까?라고 추정하는 책(명법 스님 지음 ‘미술관에 간 붓다’ 220 페이지)은 인상적이란 말을 하고 싶다.
상상력의 한 진경(眞境)을 보여주었다고 해야 할까?
다만 궁금증이 드는데 그것은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 나를 찾으면 삿된 길을 걷는 것이라는 금강경의 가르침과, 법신 및 색신(色身)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연결지을 수 있는지, 이다.
불교 조각에 대한 자료를 찾다가 생각이 여기까지 오게 되었다. 감사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