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한가람 역사문화 연구소) 소장이 서울신문과 자신의 페이스북에 쓴 글들을 읽으며 내가 떠올린 것은 지난 2007년 이 분의 저서인 ‘조선왕 독살사건’이란 책을 읽은 기억이다.

바른 역사관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하며 깊이 공감하고 감명 깊게 읽은 책이었고 학교 졸업 후 처음으로 읽은 자율적인 의식서(意識書)라 할 책이었다.

오늘 오른 그 분의 페이스북 글은 도종환 의원의 문체부 지명과 관련해 느닷 없이 현안이 된 고대사 논쟁에 대해 밝힌 글이고, 일제의 식민사관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조선, 한국, 경향, 한겨레 등 언론 카르텔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한 글이다.(경향과 한겨레의 일제 식민사관 고수는 충격적이다. 이들이 일제의 식민사관을 고수하는 것은 밥줄 때문이라고 한다.)

“지금 100년 전 조선총독부에서 만든 역사관을 하나뿐인 ‘정설, 통설’이라고 우기는 식민사학계가 독립운동가의 역사관을 따르는 학자들을 ‘유사, 사이비역사학’으로 매도하는 이유도 본질은 밥에 있다.”(2017년 6월 22일 이덕일 소장 페이스북 글 중에서.. 본문에는 ‘역사관이‘라 되어 있지만 ’역사관을‘으로 수정)

이와 관련해 발표된 일련의 글들을 다 이해하기에는 내 내공이 부족해 역사학자 이주한 님의 ’위험한 역사 시간‘, ’한국사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이덕일 소장의 ’우리 안의 식민사관‘ 등을 읽기로 했고 다음(Daum)의 ’한가람 역사문화 연구소’ 카페에 가입했다.

다만 서울신문에 오른 이덕일 소장의 ‘세종 같은 대통령이 나오려면’(2017년 4월 20일)이란 글을 말하고 싶다.

이덕일 소장은 악역을 담당한 태종이 있었기에 세종 같은 성군이 가능했다고 말한다. 태종이 담당한 악역이란 강력한 공신세력을 정리하고 모두 법 아래 존재하는 법치국가를 만든 것이다.

이미 명나라의 공식 인정을 받은 세자 이제(李禔: 양녕)를 폐출하고 이도(李祹: 충녕)를 임금으로 발탁한 태종의 결단도 악역에 포함시켜야 할지 모르지만 시사하는 바가 있다.

당시 양녕은 많은 물의를 일으킨 상황이었다. 태종의 결단은 세자 개인보다 국가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데서 도출된 것이다.

태종의 결단은 적장자(嫡長子) 왕위 승계에 집착하지 않은 결과라 할 수 있다. 태종의 결단은 주나라를 흠모한 유가의 성군답게 장자인 문종에게 왕위를 잇게 한 세종의 결정과 대비된다.
병약한 문종은 오래 살지 못했고 어린 장남 단종이 왕이 됨으로써 숙부 수양이 섭정하는 구실이 마련되었다.(장인용 지음 ‘주나라와 조선’ 참고)

이와 비교할 글이 이재영의 글이다. 저자는 세조가 아버지 세종의 유훈대로 어린 조카 단종을 잘 보필하여 적장자 승계 원칙을 지켰으면 조선 역사는 덜 시끄럽지 않았을까, 라 말한다.(‘조선 왕릉, 그 뒤안길을 걷는다’ 80 페이지)

하지만 수양의 잘못은 적장자 승계 원칙을 깬 것이 아니라 왕위를 찬탈한 것이다.

어떻든 이덕일 소장의 결론은 한국 사회에 필요한 대통령은 태종 같은 인물이라는 것이다. 해방 이후 친일청산에 실패한 데다 개발독재가 가세하면서 우리 사회 상층부 구석구석을 장악한 부패와 특권 카르텔을 해체하려면 태종처럼 악역을 감내하는 소명의식이 필요한 바 그 이후에야 세종처럼 안정된 상태에서 선정을 펼칠 수 있는 성공한 대통령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글은 개혁이 혁명보다 힘든 이유를, 초법적인 혁명과 달리 개혁은 법적 테두리를 지키는 변화이기 때문이라 설명한 뒤 개혁가는 좋은 의미의 마키아벨리스트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오길영 교수의 글(2017년 6월 17일 페이스북)과 함께 음미할 글이다.

나이브(naive: 순진, 고지식함)의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절대로 안 되는 것이다.

* 중요한 글을 써야 하는데 머리가 너무 아프다. 거의 일주일 동안이나 성(城)에 진입하려는 고투(苦鬪)를 계속하지만 실패하는 카프카의 ‘성(城)’의 주인공 K처럼 나는 글을 시작하지도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