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과 경복궁 자료를 위해 오랜만에 도서관을 찾아서 직접 관련이 없는 건축 책들을 몇 권 빌려오고 말았다.

물론 궁궐 책도 건축과 관련이 있지만 빌려온 책들은 인문적 건축을 주제로 한 책들이기에 궁궐과 직접 관련이 있는 책들이 아니다.

건축 책들을 가끔 읽는 편인데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을 설계한 프랭크 게리에 대한 관심도 건축 책들을 읽게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게리는 종묘 정전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지닌 건축가로 지난 2012년 일반 관람객들이 없는 이른 시간에 자신과 일행들 몇몇만 종묘를 보게 해달라고 해 우여곡절 끝에 허락을 얻어냈던 분이다.

종묘 시나리오에 게리 이야기를 포함시킨 것은 병렬 구성의 관점들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김동욱 교수의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이나 임석재 교수의 ‘우리 건축 서양 건축 함께 읽기‘ 등의 책들이 거기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서양 건축으로부터도 배울 것은 배우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번에 종묘 공부를 하면서 상징적 목적과 실용적 목적을 상호 배타적으로 보는 시각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가령 중지(中池) 한 가운데에 향나무를 심은 것은 제례 공간이기에 상징적인 차원으로 잡귀를 쫓고 신을 부르는 나무를 심은 것이기도 하고 제례에 쓸 향을 확보하기 위해 실용적 목적으로 심은 것이기도 할 것이다.

인문학적 관점으로 전통 건축들을 분석하는 책에 당분간 빠져지내게 될 것이다.

서양 건축들을 보는 시각으로 우리의 건축들을 분석하고 느끼는 시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