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앤스터디가 ‘지성과의 산책 1 - 한국 성리학과 양명학의 대가들을 만나다‘를 주제로 강의한다고 한다.(김교빈 교수 강의)
성리학과 양명학의 관계를 밝히고 그 학문들이 한국 철학사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지 분석하는 강의이다.
외주내양이라는 말이 있다. 겉으로는 주자학 즉 성리학을 표방하고 속으로는 양명학을 신봉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주(周)나라의 역(易)을 주역(周易)이라 하니 주자학은 주나라의 학문인가 생각할 수 있겠지만 주자학은 주희(朱熹)의 학문이란 의미의 朱子學이다. 더구나 주희는 중국 남송 사람이었다.
공자의 학문, 맹자의 학문 등을 (원시) 유학이라 하지만 오롯이 한 사람을 성인으로 대우해 그의 학문이라는 뜻에서 주자학이라 부르는 것은 지극히 이례적이다.
외주내양이라고 했지만 이는 사상의 획일화를 지향하고 사문난적이라는 말을 통해 알 수 있듯 이단을 지양한 조선의 사정을 반영한다.(지양이라기보다 배척이고 말살이겠지만...)
어떻든 외주내양이라는 말은 공식적으로는 소설 탄압정책을 수행하고 사적으로는 소설을 탐독했던 조선 후기의 일부 신하들을 생각하게 한다.
겉으로는 소설 탄압 제스처를 쓰고 속으로는 소설에 빠지는 것을 무엇이라 불러야 할까? 이것이 외주내양과 다른 것은 외주내양은 두 가지 학문 사이에서 줄타기를 한 것인 반면 소설과 관련한 상반된 태도는 하나에 대한 표리부동한 대처이기 때문이다.
소설을 부정적으로 본 조선의 임금으로 정조를 들 수 있지만 소설의 무엇이 문제일까?
그제(5월 16일) 실학박물관에서 동기의 해설을 듣다가 단서를 얻었다. 문체가 문제가 아니라 사회비판이 문제가 아니었을지? 문체와 사상이 밀접하니 결국 문제는 문체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