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시스 풀랑, 자크 이베르, 올리비에 메시앙, 프랑크 마르탱 등의 곡들을 즐겨 듣던 때가 있었다. 독일어권의 고전과 낭만 음악을 위주로 한 감상 습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였다.

결국 그 낯선 세계에 안착하지 못했지만 클라리넷과 플룻, 바순(파곳), 오보에 등의 목관 악기(woodwind instruments)를 중심으로 새로운 세계에 귀의(歸依)하려는 마음에는 변함이 없다.

가장 세련되고 현대적인 목관악기는 무엇일까? 어떤 곡에 쓰이는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클라리넷이 아닐까 생각한다.

모차르트 협주곡, 퀸텟, 브람스 소나타, 트리오, 퀸텟 등을 주로 들어왔지만 현대 작곡가들의 repertoire도 많다.

메시앙의 시간의 종말을 위한 quartet에 클라리넷 파트가 인상적이고 현대 음악은 아니지만 라벨의 볼레로에서도 클라리넷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2번, 피아노 협주곡 2번, 슈베르트의 교향곡 8, 9번에서도 클라리넷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드뷔시의 프리미어 랩소디, 영국 작곡가 말콤 아놀드(Malcolm Arnold: 1921 - 2006)의 소나타, 프랑스 작곡가 프란시스 풀랑(Francis Poulenc: 1899 - 1963)의 소나타도 좋다. 윤이상 님의 퀸텟은 공부하듯 아니면 명상하듯 들을 곡이다.

음악적 공간에는 원근법도 중력도 없다. ˝일상의 속박을 무효화시킨 자유의 공간˝(서우석 지음 ‘물결 높던 날들의 연가‘ 118 페이지)인 음악적 공간에서 유영(遊泳)할 수 있어 다행이다.

나는 지금 슈베르트 교향곡 9번 2악장 도입부의 높이 나는 경쾌함을 감상한다.

˝봄날엔 모두/ 하늘로 오른다/ 땅속 깊은 곳에서 쭈욱 물 빨아올리고/ 새싹 틔우는 나무들/ 그 나무들 위로 아지랑이 비행기 새들이/ 가뿐하게 두 팔을 들고 비상하고...˝(염명순 시인의 ‘봄날엔‘ 중 일부)란 시와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