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절 기간이다. 경건함으로 채워져야 할 기독교인들의 시간이다. 나는 바흐 성악곡 감상으로 홀로이지만 일정에 동참한다.

요 사이 CD 듣기가 귀찮아 유튜브로 음악을 들었다. 어제는 오랜만에 바흐 칸타타 198번을 들었다.

전편이 좋지만 마지막 파트(열한 번째 곡)인 합창곡 ‘Doch Konign! Du stirbest nicht‘가 하이라이트이다.

이상하지만 열정적인 이 부분을 들으면 예수의 수난(受難; Passion)이 생각난다. 당연히 내게 예수 수난의 핵심은 십자가의 형벌이었다.

그런데 요즘 예수는 바울에 의해 윤색된 존재로 보인다. 복음서의 예수를 보아야 한다.

어떤 이가 다른 사람을 주제로 말을 하면 우리는 일반적으로 대상이 된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된다.

그런데 한 정신분석 전문의는 그럴 경우 우리는 대상이 된 사람에 대한 정보도 얻지만 화자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얻는다는 말을 했다.

바울도 예수를 이야기했다. 하지만 그것은 예수의 행적과 다른 예수이다. 어제는 바흐 칸타타198번을 들었고 오늘은 마태수난곡을 들을 것이다.

내일은 요한수난곡, 모레는 부활절 오라토리오이다. 그렇다면 내가 순례하는 것은 예수인가? 바흐인가?

바흐 CD 전집을 구입한 지 수년이 지났다. 내가 이 음반들에서 들은 바흐 곡의 비율은 전체의 50퍼센트 정도이다.

많이 들은 장르는 성악곡들, 소홀했던 장르는 평균율을 비롯한 건반 곡들이다.

명리학에서는 우리의 사주에는 오행(목화토금수)이 열 개가 아닌 여덟 개(사주팔자)만 배정된다고 말한다.

기본적으로 다섯 기운이 조화롭게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넘치거나 없는 부분이 있게 마련이다.

바흐 음악 감상에서 나타나는 편중을 오행과 팔자의 불균형을 보는 시각으로 보고 싶다. 막연하지만 첫 걸음을 떼어놓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