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임무성 지음 / 에세이스트사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수필(隨筆)의 의미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책이 '우린 다시 만날 수 있을까'이다. 쉽고 편안한 장르라고 해도 비슷 비슷한 수준을 넘어서려면 정성을 다해 새롭게 써야 한다. 이 책은 저자가 인생의 황혼기를 맞아 쓴 수필집이다. 저자의 술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수필도 공부를 해야 잘 쓸 수 있는 장르이다.

 

본문에는 글쓰기의 탈이 몇 가지 언급되어 있다. 쓰기에 반영할 만한 만큼 생각거리를 주는 글이다. 물론 쉽지 않다. 유의해야 할 것들이 한 둘이 아니다. 수식이 많은 것, 남의 말을 빌어 오는 것, 혼자 아는 듯 아는 체 하는 것, 구체성이 결여된 것, 박학을 자랑하는 것 등...

 

수필은 무엇보다 일상적인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체험이 중요하고 소박하고 일상적인 것에서 의미를 건져올려야 한다. '우린 다시 만날 수 있을까'도 그런 룰에 들어맞는다. 편견일 수 있지만 수필은 나이가 어느 정도 든 사람의 장르인 것 같다. 자서전이나 회고록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갈수록 수필이 어렵다고 말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매너리즘 때문일 수 있고 어느 정도 쓰게 되면 자신이 지닌 단점이 보이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여행도 해야 하고 독서도 필수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색을 찾기 어려운 장르를 튀지 않으면서도 은은한 개성을 담아 써야 하는 수필은 그 만큼 어렵다.

 

수필은 어떻게 보면 시, 소설 등을 공부하고 나서야 참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장르인지도 모른다. 음악 감상도 수필을 풍요롭게 하는 보물일 수 있다. 저자의 글은 편하고 자연스럽다. 그러면서도 성찰의 미덕을 보여준다. 이런 저자의 글을 접하면 자신의 단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나의 경우 어렵게 쓰는 것이 단점이고 남의 것에 많이 의존하는 것이 단점이다. 남의 것이란 이론을 말한다. 그러니 이는 결국 어렵게 쓰려는 것을 의미한다. 수필의 미덕은 소통에 있다. 어느 장르보다 그런 점이 강한 것이 수필이다.

 

산책도 글의 소재를 길어올리는 데 유용하다. 걷기를 사유 또는 철학과 연결짓는 세태를 떠올릴 만한 대목이다. 표제작인 '우린 다시 만날 수 있을까'를 보자. 다른 글에 비해 분량이 긴 이 글은 친구의 부음에 즈음한 회고조의 글이다. 나는 만일 젊은이가 친구의 죽음을 회고한다면 어떤 글이 나올지 궁금하다.

 

'우린 다시 만날 수 있을까'는 저자가 67세 되던 해부터 6년간 쓴 글을 모은 책이다. 1년에 열편씩의 글이다. 어느 만큼 써서 어느 정도의 글을 모은 건지 모르지만 하나 하나 정성들여 쓰고 골랐을 것이다.

 

나의 경우 하루에 한 편씩을 쓴다는 원칙을 고수해왔다. 연습의 의미가 강한데 이제 완성도를 유의해야 할 때가 되었다 생각한다. 왠만한 분들은 긴장을 놓고 무의미한 시간을 보낼 법한 시기에 글을 쓴다는 자체만으로 칭찬 받기에 족하다.

 

이론을 가능한 한 배제한 채 쓴 담담한 글은 쉬운 듯 하지만 누구나 쓰기는 어려운 일이 아닐지? 더구나 멋을 부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진솔한 글이라 할 수 있다. 두고 두고 옆에 두고 펼쳐볼 책으로 추천한다. 본문에 나오는 수필(隨筆)의 정의는 새겨들을 만하다. 즉 붓 가는 대로 쓰는 것이 아닌 수시(: )로 쓰고 기록한다(: )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