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재촉하는 비가 내린다. 지난 수요일 심우장(尋牛莊)에 간 날에도 이 만큼 비가 내렸었다.

만해 백일장 참가를 일주일 앞두고 답사(踏査)차 간 것이었지만 나는 결국 백일장 참가를 내년으로 미루고 말았다.

그래도 준비를 위해 평전을 읽었고 심우장을 둘러싼 성북동의 달동네스러움을 확인했고 몇 건의 댓글을 받았으니 수확이라면 수확이다.

지난 해 12월 29일 해설사 수업 시간에 한양도성 순례를 마치고 혜화문 앞에서 심우장 인근까지 동료 몇 사람과 함께 걸어 점심을 먹었었다.

이 기억 때문에 아프다. 왠일일까? 한용운도 나도 모두 정신분석해야 할 사연을 가진 것인가?

만해를 처음부터 정신분석적 대상으로 보고 읽은 것은 아니지만 정신과 의사 김종주 박사의 책(‘이청준과 라깡’ 303 페이지)에서 나는 중요한 단서를 얻었다.

“만해의 성격은 충족되지 못한 의존적 욕구와 무의식에 억압된 적개심으로 표현되는 구강 성격과 항문 성격의 혼합된 형태로 보인다.”는 글이다.

위대한 글을 쓰는 작가는 결국 큰 억압을 이긴 콤플렉스적 존재일까?

내가 받은 댓글 가운데는 “외부는 그토록 전사(戰士)적인데, 시에서는 그토록 아니마적”이기에 독특하다는 글이 압권(壓卷)이라 할 수 있다.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글이 좋은 글이 아니겠는가.
평전에서 김삼웅 선생은 만해가 사로잡힌 동학군을 처형하고 혹독하게 취조한 아버지로 인해 극심한 정신적 고통과 죄책감에 시달렸고 그 아버지 콤플렉스가 여성주의적 성향으로 전이되었다는 말을 했다.

되살리기 싫지만 광인(狂人) 왕 영조(英祖)도 친여성적인 만큼 남자들과 바람직한 관계를 맺지 못했다는 사실이 얼핏 스친다.

어쩌면 내가 스피노자를 탐독하는 것은 이성(理性)의 힘을 누구보다 신뢰하고 관계 속에서 발견하는 기쁨을 자유(自由)로 보고 적극적 감정인 기쁨을 강조한 그의 철학과 내가 정확히 반대되는 자리에 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성적이지 못하고 관계 속에서 서툴고 수동적인 정념에 좌우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아, 위대한 스피노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