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3월이다. 새해는 아니지만 새해가 되면 마음에 새기곤 하던 한 스님의 다짐을 되새겨본다.
˝새해에는 시간을 아끼면서 살아가도록 하자....가차 없이 자신을 일깨우고 인간으로서의 관용과 서른이 넘은 남자로서의 기품을 닦아가도록 하자.

선(禪)에 더욱 정진하도록 하자. 인간으로서의 고독을 이해하며 받아들이고 죽음이 목전에 있음을 항상 잊지 말고 되새겨야 한다.˝

일지 스님(1959 - 2002)이 산문집 ‘월정사의 전나무 숲길‘에서 한 말이다. 이를 보며 스피노자(1632 - 1677)의 회심(回心)을 생각한다.

스피노자와 일지 스님 모두 사십대 중반에 타계했지만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니다.

스피노자가 이 세계의 덧없음과 공허함을 보고 물질 추구에 전념하던 삶과 급격히 단절한 뒤 영원과 신에 대한 지적 사랑의 길을 걸었다면 일지 스님은 망각과 가난의 이유를 깨닫고 자신에 대한 무자비한 비정함을 배웠다.

스피노자와 붓다를 이성주의자이자 합리주의자로 규정(성회경 지음 ‘스피노자와 붓다‘ 43 페이지)한 글이 있다.

이 글을 보며 생각하는 것은 스피노자와 일지 스님이 공명하는 부분이다.

스피노자와 일지 스님은 세상의 허무에 주목하고 구원의 길을 모색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스피노자가 이성의 힘을 강조했다면 일지 스님은 자칭 불교인문주의자였다.

허무와 공허에 민감했던 일지 스님이 말하는 바 의상(義湘) 대사 역시 스피노자, 일지 스님과 같은 길을 걸은 분이다.

일지 스님은 의상 대사의 ‘백화도량 발원문‘을 일러 인간의 깊은 숙업과 번뇌를 누구보다도 깊이 깨닫고 있는 니힐리스트의 절망과 고독이 검은 잉크처럼 묻어나고 있다고 표현한다.

물론 일지 스님에 의하면 의상 대사의 글의 이면에는 신앙과 해탈에의 염원이 숨겨져 있다.(‘월정사의 전나무 숲길‘ 28 페이지)

절망과 고독을 느낀다고 모두 신앙심을 갖지는 않으니 대단한 것이다.

스피노자를 담백하고 자연스러운 인품을 지녔던 생활인, 강도 높은 작업과 지적 훈련으로 인해 검소한 삶을 살다가 간 은둔의 철학자로 설명한 한 철학자의 글도 생각하게 된다.(로저 스크러턴 지음 ‘스피노자‘ 32 페이지)

마음이 자주 외부 요인에 흔들릴 때 생각하는 것은 정념(情念)으로부터의 자유와 역량(力量;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과 기량)을 향한 자유를 강조한 스피노자의 철학이다.

지난 주 수요일 처음 들은 시인 특강에 참여한 것은 시(詩)를 써 등단이라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시를 익히면 내가 발휘할 수 있는 자유의 폭이 커질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올해는 시(詩), 스피노자, 문화해설에 전념하는 원년(元年)이 될 것이다.

이런 다짐을 하는 지금이 내게는 원단(元旦; 설날 아침이란 말 말고 어떤 일을 처음 시작하는 날이란 뜻도 있는 단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