看盡百花正可愛(간진백화정가애); 온갖 꽃을 만나 정히 느껴보았고

縱橫芳草踏烟霞(종횡방초답연하); 안개 속 꽃다운 풀 이리저리 다 누볐다

一樹寒梅將不得(일수한매장부득); 한 나무 매화꽃은 아직 얻지 못했는데

其如滿地風雲何(기여만지풍운하); 천지에 가득한 눈바람 어찌할 것인가

3.1독립운동을 주도한 죄목으로 서대문 감옥에 갇힌 만해 한용운(1879 - 1944) 스님이 함께 운동에 참여한 최린(崔麟; 1878 - 1958)에게 지어 보낸 ‘증고우선화(贈古友禪話)‘란 시다.

천지에 가득한 눈바람 어찌할 것인가란 마지막 구절이 가슴을 친다.

칸트, 파스칼, 뉴턴, 헤겔 등의 서양 지성에도 정통했고 한시에도 능했던 만해의 예지력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만해의 우려대로 최린은 결국 변절하고 말았다. 3.1독립운동이 있은 지 약 10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났다.

물론 그럼에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가 있다.

만해가 조선불교유신론에서 개혁의 대상으로 지목한 것들이 여전히 유효하듯.

어떻든 천지에 가득한 눈바람이란 구절이 일제의 탄압 또는 회유로 해석되지만 이는 실존적으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고정희 시인이 ‘화육제 별사‘에서 말한 ˝잡초보다 무성한 안락에 대한 갈망˝ 같은 것으로 보고 싶다.

명상을 해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알 것이다. 마음이 마냥 밖으로만 향한다면 상처입을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최소의 안전 장치를 알았지만 그간 마음 하나 체크하지 못하고 살아온 세월을 반성한다.

잡초보다 무성하게 (안락이 아닌) 고난을 갈망한 시간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결과적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