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와 마음‘(2016년 11월 출간)을 감명 깊게 읽고 저자 명법 스님의 이전 작인 ’미술관에 간 붓다‘(2014년 6월 출간)를 찾아 읽었다.

미학(美學)이란 것이 서양 근대의 도구적 합리주의에 대한 대안으로서 출발했다고 말하는 저자는 천강(千江)의 달 그림자를 이야기한다.

이것들은 불교 예술의 이미지이다. 그렇지만 저자는 달 그림자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것이 부질 없지 않다고 말한다.

이것들은 하늘에 뜬 진짜 달과 함께 달의 진실한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저자가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이미지에 집착하지도 말고 이미지를 무(無)라고 내치지도 말라는 것일까?

저자에 의하면 천강의 달 그림자는 궁극적인 깨달음은 삶 저 너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곳에 존재함을 알리는 은유이다.

이 책에서 서양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비교되는 아사세 컴플렉스를 만났다. 빔비사라 왕이 왕비 위제희 부인이 아이를 낳지 못하고 늙어가자 불안감을 느껴 예언자를 찾아간다.

예언자로부터 숲 속의 선인이 3년 후에 죽어 왕자로 환생한다는 말을 들은 왕은 조급한 마음에 사람을 시켜 선인을 죽인다.

얼마 후 왕비가 아이를 낳는데 어느 관상가로부터 아이가 원한을 품고 있다는 말을 듣고 높은 누각에서 갓난 아이를 떨어뜨려 죽이려 한다.

하지만 왕비의 모성애와 지혜 덕에 살아난 아이는 자기를 죽이려 한 부왕의 진실을 알고 아버지를 죽인다. 귄터 그라스의 ’양철북‘은 아사세 컴플렉스를 작품화한 것이라고 한다.

오이디푸스의 비극이 운명 자체에 의해 결정된 것과 달리 아사세의 부친 살해와 모친 유폐는 아사세의 부왕인 빔비사라의 과거 악행의 결과이다. 비극, 비극, 비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